9월15일 오후3시11분부터 저녁 7시56분까지 전국의 656만호가 정전되는 사상 초유의 사고가 발생한지 1년이 흘렀다.

1년이 지난 현재 정부와 학회 등 관련기관들은 당시 상황을 뒤돌아보고 다시는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세미나와 포럼 등을 개최하며 차분하게 1년을 정리하는 듯하다.

지난 14일 대한전기학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는 충분히 관심을 모을만한 자리였다. 주제발표와 토론에 임하는 인사들의 면면에서 9.15대정전에 대한 심도있는 얘기가 나올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현실과 이론의 차이만을 확인한 자리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주목받은 주제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였다.

논지도 지난해 9.15 대정전 사고 당시 EMS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면 전국적인 순환정전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과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었다.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유재국 박사는 9.15 당시 EMS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력거래소 조종만 중앙전력관제센터장은 당시 긴급상황 발생으로 급전원 판단에 의해 수동급전할 수밖에 없었다고 항변했다.

유재국 박사는 EMS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 기술력 부족, 관리부실, 법규 미비 등을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많은 4년제 대학 전기과 교수들이 동조하는 박수를 보냈다.

당연한 지적임에도 기자는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이 자리에서도 현장기술자는 문제투성이였다. 오직 교수들만이 맞는 말만 하는 의인이었다.

9.15대정전 사고 이전에 전력거래소나 한전 등 전력계통 현장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한 교수가 몇 명 있었나 싶었다. 에너지학 박사라는 유재국 입법조사관은 전기를 얼마나 많이알아서 대놓고 EMS가 중단됐다고 강변하는지 이해하기 힘들었다.

피말리던 1년전 당시 전력거래소 중앙급전소에서 스위치를 내려야하나 말아야 하나를 고민했을 당시 직원들을 떠올렸다.

중요한 것은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이런 취지로 만들어진 이날 토론회에서 학자들은 전력거래소 직원들에게 말할 기회조차 주지 않으려 했다. 오로지 자신들의 입장과 논리만 맞다고 할 뿐이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