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형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부회장

[에너지신문] 연료전지는 그 용도별로 보면 가정용, 건물용, 발전용, 승용차용, 휴대용으로 나뉠 수 있는데, 연료전지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에서 볼 수 없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효율이 월등하고 열과 전기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설치 면적도 적게 들고 시공도 간단하면서 그 기간도 짧을 뿐 아니라 기후 조건에 관계없이 상시 가동이 가능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인구 절반 이상이 몰려있고 건물 에너지 수요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과 짧은 역사에도 외국과 어깨를 나란히 견줄 수 있는 기술력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다른 나라와는 달리 분산전원으로 수요관리의 한 축을 이끌 수 있는 커다란 잠재성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가지 유리한 특성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우선, 경제성을 더 확보하여 수요자의 부담을 낮추어야 한다. 타 신재생에너지원보다 비싼 설치 비용에 대한 격차를 줄여나가지 않는다면 아무리 우수한 에너지원이라도 시장에서 통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간 연료전지 업계는 열악한 여건 속에서도 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제품의 가격을 낮추는 등 노력한 점을 높이 살만 하지만 아직도 비씬 설치 비용은 연료전지를 선택하는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업계(가정용, 건물용, 발전용, 수송용)가 독자 추진하고 있는 주요 소재, 부품과 공정 기술에 대한 정보와 기술요소를 공동으로 협업한다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여지는 충분이 있다고 본다.

특히 핵심소재에 대한 자체 기술 확보를 소홀히 한다면 영원히 외국 기술에 예속되어 가격을 과도하게 올리거나 공급을 제한하는 횡포(?)에 당할 수밖에 없으며 가격 협상력에서도 항상 을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다.

둘째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가정용인 경우 보조금 정책은 계속 축소될 수밖에 없고 한계 수요의 감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면 그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뿐만아니라 수 년내에 사업성 자체가 큰 위협에 직면하게 될 수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건물용 연료시장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내야 한다. 물론 건물용은 가정용과는 달리 보조금 지원이 없고 작년에 공공건물 의무화 대상으로 포함되는 정도로만 시장에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이 건물용 시장에서(빌딩 뿐 아니라 아파트나 연립주택, 공장, 산업단지 등) 승부를 내는 것이 가장 현명한 길이라고 본다.

건물용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수단을 제언한다면 △공공건물 의무화에 타 신재생에너지원과의 경쟁력 확보 △민간건물의 의무화 대상 확대 △연료전지에 대한 장점 적극 홍보 및 수요자 인식 전환 △연료전지에 대한 수요자 임대제도 신설 △건물용에 대한 REC 제도 신규도입 검토 △분산전원으로서의 모델 기획 △비상발전기의 대체재로 전환 △타 신재생에너지원과 하이브리드화(융합) △수소타운 및 저장탱크의 확산(자동차용과 공동 전선) 등을 들 수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연료전지는 단가를 낮추고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연료전지 산업이 살아남을 수 있고 진정으로 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유념해야 한다. 세계에서 도시가스배관망이 가장 잘 발달한 일본의 경우 수 만대의 연료전지 시장이 엄연히 존재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는 점을 교훈삼아야 한다.

일본과 여건이 비슷한 우리는 매년 수백대 정도의 연료전지 시장만으로는 지속가능한 연료전지 발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업계, 연구계, 정부가 더욱더 분발해야 하는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