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충렬 세계풍력협회 부회장/목포대 석좌교수

[에너지신문] 국내의 풍력산업은 산업의 활성화가 되기 전에 발전차액보상제도 하에서 단지개발로 인한 풍력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정부의 R&D 및 보급정책으로 국산화개발에 촉진을 추구해왔다.

국내의 풍력발전 단지는 수익사업에만 혈안이 된 단지개발 사업자들에 의해 외국제품의 전시무대가 되어 왔었고, 이제야 조금씩 국산제품의 단지설치를 기대해 보지만 지금도 국산제품의 인지도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실적사례가 많은 외국제품의 그늘을 피해 갈수가 없는 실정이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이 궁여지책으로 차액보상제도에서 의무화제도(RPS)로 전환하며 가중치에 의한 투자 장려와 보급계획을 추구하고 있으나 지금의 현실은 육상풍력단지개발이나 해상풍력단지개발이 여러 가지 족쇄에 묶여 안개 속에서 오리무중이 되어 가고 있다.

그간 정부의 R&D자금으로 시스템 개발을 해왔던 회사들이나, 몇몇 대형 중공업사들이 자체개발 자금으로 시스템 개발을 추구해왔으나, 투자자들의 투자의욕을 고취시키지 못하는 일관성 없는 정책은 풍력산업자체를 사지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해상풍력산업 육성 이유는 이산화탄소 의무 감축의 역할도 있으나, 세계 최고의 조선산업 강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상풍력산업이 발전하게 되면 기반산업을 더욱 부흥시킬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해상풍력발전시스템은 육상에 비교해 풍황에 영향을 주고 있는 장애물 감소로 풍속이 육지보다 증가함으로서 출력 또한 증가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건설비용을 상쇄 할 수 있는 요소가 있고 대형풍력발전기설치로 대형풍력단지 조성이 가능함으로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 건설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기도 한다.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공정작업이 해양플랜트제작 및 설치와 매우 유사한 측면이 많기 때문에 국내의 대형조선소나 중공업이 대형 해상풍력발전 시스템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 해왔다.

최근 서남해 2.5GW 해상풍력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한국해상풍력에 따르면 1단계 실증단지 건설에 그동안 참여의사를 밝힌 시스템제조업체는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효성중공업, 두산중공업 등이었으나 삼성과 효성이 해상풍력 시스템 공급을 포기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는 암담한 국내 풍력산업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효성중공업이 갖고 있는 3개의 시스템 개발은 국책과제개발로 제작되었던 것이다.

정부예산에 의해 개발한 제품중 5MW급은 해상풍력 전용시스템으로 개발했다. 그러나 개발한 제품을 정부 주도의 국책사업에 공급하는 것을 포기한 것이다.

삼성중공업은 세계 매스컴을 타고 스코틀랜드 해안에 7MW 시제품설치와 시운전 가동으로 우리 모두를 흥분케 했다.

그러나 국내기술력의 졸속 판단 결정인지, 설치된 제품의 최적상태를 보완하기도 전에 고장, 제품결함 문제가 제기되면서 국내 풍력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했다.

국내의 풍력전문 기술인력 풀이 태부족인 현실에서 고급인력 양성사업에 의한 인력배출이 양산체제로 돌입하고 있는 현실를 본다면, 국내 풍력산업의 몰락은 또다시 청년실업자들을 양산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풍력산업의 발전을 미래 지향적 산업개발의 파라다이스로 단정해 왔다. 깨끗한 공기 바람에 의해 에너지를 얻고, 산업이 발전하여 고용 창출이 일어나고, 지역경제기반이 구축되는 꿈을 안고 열심히들 노력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에겐 선진국의 제품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외국제품을 대체할 국산제품이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기술력에 대해 좀 더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우리들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보면 좀 더 좋은 국산제품을 개발하고 제작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