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소형저장탱크 보급 확대 등 결실

▲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도시가스 업계와 함께 연탄을 나르고 있다.

[에너지신문] 신년 벽두 가스업계를 뜨겁게 달궜던 이슈 중 하나는 수도권 그린히트 프로젝트다.

정부가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사업자로 내세워 수도권에 거대한 열 배관망을 건설한 후 인천지역 발전소에서 발생한 열을 수도권 지역에 공급하겠다는 이 계획은 도시가스업계의 극심한 반발을 불러 왔다. 특히 공급되는 열이 폐열인지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었으며, 이에 대한 의견대립은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올해는 직수입 천연가스에 대한 규정정비도 이뤄졌다. 국회는 도시가스사업법 개정작업을 통해 직수입 천연가스의 용도를 자기가 소비할 목적으로 직접 수입하는 발전용, 산업용, 열병합용 및 열 전용(專用) 설비용으로 정했다. 직수입 천연가스의 용도에서 도시가스용은 제외하고, 가스공급시설 개선 명령 미이행 시에는 횟수별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일종의 방어막을 친 셈이다.

수송용 천연가스 시장은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CNG택시 보급사업은 당초 계획에 턱없이 미달한 채 사업을 포기, 강원도가 이어 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CNG버스 보급사업 또한 정부 지원이 줄어들면서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여기에 경쟁연료의 가격인하가 이어지고 상대적으로 천연가스 가격은 동결 또는 인상이 이어지면서 수송용 천연가스 보급의 시련은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LNG 벙커링 기술 확대, KC-1 화물창의 탑재 결정, HCNG 엔진기술 개발 등 다양한 기술개발과 도시가스사업자의 발전사업 진출 등 사업다각화가 이어졌다.

하지만 경기침체 및 경쟁연료 대비 가격경쟁력 악화 등에 따른 천연가스 소비감소로 인해 도시가스사업자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진 한해였다.

LPG업계는 올해 유례없는 정부와 국회의 관심을 받았다. 지난해 본격화된 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은 사회복지시설에서 농어촌 마을단위로 확대됐다.

18개 마을에 도시가스처럼 배관망을 통해 LPG를 공급, 요금 인하 및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 이 사업은 지자체의 뜨거운 관심하에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다. 정부는 이미 내년 360개 사회복지시설, 35개 마을에 LPG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을 진행하기로 하고, 총 95억91500만원으로 예산을 편성했다.

업계의 숙원이었던 LPG 법령 일원화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홍의락 의원이 대표 발의한 석유및석유대체연료사업법(이하 석대법)과 액화석유가스의안전관리및사업법(이하 액법)에 규정된 LPG관련 수출입 규정을 액법으로 일원화하는 개정안을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다. 박완주 의원이 발의한 소형저장탱크 보급확대를 위한 개정안도 통과가 확실시돼 정부 배관망 사업 추진이 보다 원활해질 전망이다.

저유가 영향에 따른 가격안정화로 경쟁력도 강화됐다. 국제가격이 1월 대비 프로판은 45%, 부탄은 44%씩 내리면서 현재 리터당 900원대인 서울 시내 충전소 LPG 가격이 조만간 800원대까지 진입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택시업계의 연료다변화 요구가 잦아들어 시장 수성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