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지난달 26일 원주 황둔송계마을에서 마을단위 LPG 배관망 보급사업 첫 완공식이 열렸다.

마을 중심부에 LPG 소형저장탱크를 설치해 지하 배관으로 연결, LPG를 공급하는 이 사업은 LPG업계에 남다르다. 가정용 수요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 경쟁력이 뛰어나다. 비용절감과 안전성 향상 효과가 도시가스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정부도 사업 확대에 적극적이다. 산업부는 올해 전국 35개 마을로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읍·면단위 LPG 배관망 구축 타당성 연구조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사회복지시설에서 시작한 LPG소형저장탱크 사업이 마을로,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셈이다.

정계에서도 단시간에 저비용으로 주민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이미 국회는 이 사업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한 석대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원활한 사업진행의 토대를 마련했다.

정부와 국회의 관심은 ‘에너지복지’ 실현 차원이었지만 LPG업계에 득이 됐다. 서민연료라는 특성을 부각했고, 결국 법령 일원화라는 업계의 숙원을 이뤄냈다. 일반에도 ‘비싸고 위험하다’는 낙후된 이미지를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로 개선했다. 이 사업이 LPG업계 재도약의 발판이자 미래로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이른 축포는 곤란하다. 아직까지는 여전히 대안 중 하나다. 사업을 일반에까지 확대하려면 경쟁력을 입증해야 한다. 특히 사후관리, 그중에서도 공급자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소수 사업자가 한 마을에 대량공급하는 만큼 자칫하면 독과점에 따른 지역내 영세사업자 말살, 경쟁효과 붕괴로 이어져 요금 인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 가장 먼저 사업을 시작한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시설마다 공급가 차이가 상당해 수혜자들의 불만이 쌓이고 있다. 수혜자 대부분이 노인이다 보니 사전설명과 다른 계약서에 서명, 손해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나 관리는 요원하다.

규모의 확대만큼 질적 성장도 중요하다. 업계는 축포 뒤 노인의 눈물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새해에는 새로운 사업 만큼 이미 진행된 사업에도 관심과 관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