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가로등 교체 등 신재생E 시장 ‘활짝’
한화 건설을 필두로 우리기업 활로 열리나

[에너지신문] 최근 요르단의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과 제 2의 중동 붐 현상이 맞물리며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시장으로 요르단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한화 등 우리기업 진출이 본격화되며 신재생 시장의 중동 특수가 기대된다.

요르단은 최근 수입되는 신재생 에너지 품목에 대해 관세 및 판매세에 대한 면제 조치를 시행했다. 이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원료와 기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관련 분야 투자도 대폭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해부터 본격화 됐다. 요르단 상하원은 지난해 9월 모두 신재생 에너지 품목에 대한 관세 및 판매세 면제에 대한 법률을 통과, 요르단 왕실 포고(Royal Decree)를 거쳐 2015년 3월 1일 공포 즉시 실시됐다.

요르단의 이번 면세조치에 해당하는 품목군은 △태양열 발전시스템/기기(Solar energy systems and devices) △태양광 온수시스템(solar water heating system) △태양광시스템(photovoltaic system) △집열식태양열 시스템(concentrated solar power) △풍력발전시스템/기기(wind power system and devices) △바이오에너지시스템(bioenergy systems) △에너지효율/절약시스템(efficient and energy-saving devices systems)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크(smart grid networks) 등으로 우리의 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이 주목해 봐야 한다.

이들 품목은 사용된 적 없는 신제품이어야 하며,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 종전 대비 에너지 절감률이 최소 20% 이상이어야 면세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요르단에서 에너지 고효율제품으로 인정받으려면, 요르단 표준계량원(Jordan Standards and Metrology Organization, JSMO)에서 발급한 에너지라벨을 받아야 하지만 최소 전력량 조건을 제한하지 않아 기존 2만㎾소비제품을 1만6000㎾로 향상시켰어도 인정될 수 있다.

또한 10㎾ 기계를 8㎾로 개량했어도 인정받을 수 있어 우리기업들의 수출 전략의 확대가 기대된다.

신재생에너지 세금 철폐 기대효과

요르단은 화석에너지 부존자원이 부족해 소요량의 대부분인 9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요르단 GDP의 20%에 달할 만큼 요르단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그동안 요르단 정부는 천연가스의 80%가 이집트 시나이반도를 거쳐 아랍 가스파이프라인(Arab Gas Pipeline, AGP)을 통해 들어오는 통로를 선택했다.

그러나 불확실한 중동정세와 이슬람 테러집단의 공격으로 가스공급이 끊기는 일이 잦고 시리아 내전에 따라 약 140만 명에 달하는 난민 유입으로 1인당 전기소비도 2020년 현재의 2배, 2030년이면 3배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요르단 정부는 에너지 부문을 경제적·안보적 측면에서 생존을 가늠하는 주요 사안으로 판단, 에너지 수입부담을 줄이기 노력과 자체해결 등 다변화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2007년 발표된 요르단 에너지 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천연가스 29%, 오일쉐일 14%, 신재생에너지 10%, 원자력발전 6%, 석유발전39%, 전기수입 2%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은 장기간 소요되고, 오일셰일 또한 성공 가능성이 불확실해 자연스레 신재생에너지로 관심을 돌리게 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또한 요르단은 2012년 4월 중동에서 가장 빨리 신재생에너지법을 제정, 관련 투자를 장려하고 이 분야 개발을 위해 노력해왔다. 

2012년 말에는 요르단 에너지 규제위원회가 신재생에너지 관련 요금체계(feed-in tariffs)를 도입, 요르단 전력청(NEPCO)이 신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기를 구매하고, 전력망 연결비용은 정부에서 부담하도록 명시함으로써 현재 약 2%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를 2015년 내 7%, 2020년 10%를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환경적 요건도 뒷받침 돼 요르단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탄력을 받고 있다.

실제 요르단 일조 강도는 ㎡당 5~7㎾에 달하며, 이는 세계최고 수준이다. 연간 청명일 또한 330일에 달해 태양광 발전의 최적지라 할 수 있고, 풍력 또한 인구가 밀집한 북부와 서부지역은 풍속이 초속 7.5미터에 달하며, 일부 언덕지역은 초속 11.5미터로 양호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이다.

이런 가운데 우리기업의 진출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

지난 26일 한화건설은 요르단 최초의 멀티메가와트(MW)급 태양광 민자발전사업에 첫발을 내딛게 됐다. 한화건설은 요르단 전력공사(NEPCO)와 12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공사계약을 18일 체결, 요르단 정부가 발주한 BOO(건설·소유·운영) 방식의 민자발전사업에 참여를 본격화 했다. 

이번 계약은 암만 남쪽 200km 지점에 위치한 Ma’an(마안) 지역에 약 5000여 세대 주택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또한 EPC(설계·구매·시공)는 물론 지분투자(30%)를 통해 향후 20년간 발전소 운영에 따른 투자수익 등의 다양한 수익모델을 확보하게 됐다.

가로등 2만5000개 교체 사업 노려라

관세 면제에 이어 요르단 암만 주는 가로등 2만5000개를 에너지 고효율 등인 LED등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발표해 우리기업 진출 통로가 확보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암만 주 관계자는 “LED가로등 입찰을 지난 16일로 마감하고 올해 안에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암만 주의 경우 연간 가로등 전기료 예산은 1400만 달러로 LED등 교체로 전기료가 50%가량(700만 달러)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LED등 자체는 기존 등에 비해 3~4배 비싸지만, 수명 연한이 3~4배 길어 장기적으로는 유리하다고 판단, 사업을 구체화 하고 있다.

KOTRA 암만 무역관에 따르면 “암만주 가로등 교체는 2015년 하반기에도 2차 입찰이 남아 있어 우리 기업이 노려볼 만 하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덧붙여 요르단 정부는 암만 주 가로등 입찰 건을 시작으로 2015년 내 500㎿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관련 기회가 지속적으로 생길 전망이어서 한국 신재생에너지 관련 업계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활동이 기대된다.

정부도 중동시장을 신 시장으로 지목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우리는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스마트그리드 시범지구를 제주도에 성공적으로 운영한 바 있고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 스마트미터 등 관련 우리 기업들의 장비공급 능력도 우수해 향후 새로운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