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선의 경쟁 가능한 길 열어줘야
“에너지 효율화 통해 국가의 미래 준비하자”

▲ 이훈 한국지역난방공사 화성서부지사장.

[에너지신문]  “전기사업을 ‘사이클 종목’, 열 사업을 ‘달리기 종목’, 환경개선사업(신재생에너지 이용 등)을 ‘수영 종목’으로 비유하자면, 열병합발전방식의 집단에너지사업은 이 모두를 골고루 잘해야 하는 ‘철인3종경기 종목’에 해당될 수 있다. 집단에너지가 확대보급 되려면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이 ‘철인3종경기 선수’의 자격으로 동일 종목 내에서 서로 선의의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우선돼야 한다”

이훈 한국지역난방공사 화성서부지사장은 에너지 이용효율 및 기능적, 환경적 측면에서 집단에너지 확대 보급정책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 고려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7%를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순수입 국가로, 석유 수입량은 일본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에너지 다소비국이다.

때문에 수입한 에너지를 어떻게 하면 절약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느냐가 국가의 경쟁력 차원에서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 지사장은 이러한 우리의 현실에 최상의 에너지 효율을 낼 수 있는 집단에너지 사업이 가장 적합한 사업 중 하나라고 손꼽는다.

이 지사장은 “우리나라의 지역난방 보급은 약 220만 가구, 전체 가구 수의 15%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이 분야는 발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라며 “열과 전기수요가 공존한다면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 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이 최선의 방법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열병합발전시설을 기반으로 집단에너지 확대보급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법적, 제도적인 장치는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에너지 시장의 현실을 반영한 지적이다. 실제 전력판매의 기준이 되는 계통한계가격(SMP)이 지속적으로 하락(5월 현재, 90원대)하고 있고 수년째 열 요금이 동결됨에 따라 최근 잇따라 사업자들이 철수하고 있다.

또한 일부 사업자는 적자폭 확대로 인해 자본잠식에 빠져들고 있어 집단에너지 사업은 현재 고사 직전에 놓여 있다. 이는 집단에너지가 갖고 있는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음에서 시작된 위기라는 것이 이 지사장의 지적이다.

▲ 이훈 지사장이 화성서부지사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일례로 전기만 생산하는 복합화력의 경우 에너지 이용효율은 최대 51%를 넘지 못한다. 100의 열량을 가진 가스나 석탄 등의 연료를 사용해 전기만 생산한다면 최대 약 51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나머지 49를 어쩔 수 없이 버리게 된다.

또한 100의 연료를 사용해 열만 생산한다면 약 90의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지만 이 둘을 합하면 결국 200의 열량을 가진 연료로 약 140의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반면 열병합발전의 경우에는 에너지 이용효율이 약 85%이므로 200의 열량을 가진 연료로 약 170의 전기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역난방 배관망을 이용해 배관망 인근에 위치한 자원회수시설이나 소규모 에너지시설로부터 버려지는 열을 회수해 사용할 수 있게 돼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열병합발전 방식의 집단에너지는 에너지 이용효율을 제고시키면서 환경도 개선하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방법이다.

때문에 이 지사장은 국가에너지 정책에서 개별에너지 정책과 집단에너지 정책은 분명히 구분돼야 하고 이러한 정책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지원방안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이 지사장은 화성지사에서 국내 최초로 시행한, M501F 가스터빈 기반의 발전설비 MI(Major Inspection)에 대한 통합 유지보수 기술자료인 MI 수행백서를 자랑으로 꼽았다.

그는 마지막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는 변화뿐인 세상에서 모든 것은 하루 아침에 퇴물이 되고 있다’는 제레미 리프킨의 ‘소유의 종말’을 언급하며 우리는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유지 보수기술을 먼저 제공하고, 우리에게 필요한 상대방의 기술정보를 보다 더 빨리 취득해, 가공하고 융합함으로써 우리의 기술력을 몇 배 더 성장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