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수익성-수용성으로 어려움 겪어
전문가들, 해외진출 노력 가속화 예상

[에너지신문] 천연가스발전과 원자력발전이 각자 다른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처한 상황은 다르나 위기의 강도는 비슷해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천연가스발전은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가동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올해 50%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성이 나오지 않아 발전소 2곳 중 1곳은 가동을 못 한다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국내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15%대로 급락한 천연가스발전 비중은 올해 11%대까지 추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30년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와 같은 수치다.

9.15 정전 직후 4%까지 떨어졌던 전력예비율은 6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른 발전소의 증가로 30%대까지 수직 상승했다. 원전, 석탄화력 등 기저발전만으로도 전력부족을 겪지 않게 된 것.

설 자리가 없어진 LNG발전은 SMP(계통한계가격)의 급락으로 돌릴수록 손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가스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민간발전사들은 물론 발전5사 중 가스발전 비중이 가장 큰 한국남부발전 역시 지난해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

발전사업자들은 정부에 CP(용량요금) 인상을 요구하는 등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부는 관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천연가스 발전과 달리 원자력발전은 경제성이 아닌 수용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후쿠시마 사태 이후로 반핵, 탈핵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면서 6차 전력수급계획에서 확정된 신규 원전 건설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

여기에 계속운전이 확정된 월성1호기는 아직까지 강력한 재가동 반대 여론에 직면해 있는데다 넘치는 예비전력량으로 신규 원전 건설의 당위성도 약해지고 있어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을 절치부심하게 만들고 있다.

연이어 터지고 있는 크고 작은 사고들과 사용후핵연료 처리 및 지역주민과의 협상 문제, 신형 원전 APR 1400이 적용된 신고리3호기의 승인 연기 등도 원전 운영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한수원을 비롯해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문화재단 등 관련 기관들은 원전의 친환경성 및 원전운영의 투명성 홍보에 적극적이나 부정적인 여론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천연가스발전과 원자력발전은 각자 다른 이유로 위기를 맞고 있다”며 “이는 향후 신재생에너지 등 다른 발전산업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같은 국내에서의 위기는 해외사업 진출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이 될 것”이라며 “원전을 비롯한 국내 발전사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경제성과 수용성이라는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천연가스발전과 원자력발전이 향후 어떤 대응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 나갈지 관심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