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나래 기자

[에너지신문] 알뜰주유소 유류공급권 입찰 공고가 3일 게시, 본격적인 막이 올랐다. 지난 2012년 도입된 알뜰주유소는 정부가 자율 경쟁 시장에 일방적으로 개입한다는 비판, 기존 사업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반발에 시달렸다.

하지만 2013~2014년 정유사들의 자발적인 경쟁입찰로 시장 구조를 개혁하고, 고유가 시기 기름값 상승을 억제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올해는 다르다. 지난해 하반기 유가 급락으로 국내 유가도 수직하강했다. 배럴당 100달러를 넘나들던 국제유가가 올 1월 40달러선까지 주저앉으며 2013년 2000원에 육박했던 국내 휘발유값은 지난 2월 1400원대까지 떨어졌다. 이로 인해 알뜰주유소의 가격인하 효과는 빛을 잃었다.

저유가로 경영난이 더 심각해진 일반 석유유통업체들은 알뜰주유소에 대한 성토를 재개했다.

올초 한국주유소협회는 석유공사의 알뜰주유소 운영을 공정위에 제소했고, 지난달 대한석유협회는 정부에 ‘알뜰주유소 자립화방안을 마련하고, 석유공사의 시장참여를 제한하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공세를 강화한 상태다.

‘알뜰하지 않은 알뜰주유소’라는 말이 일반에 확산되면서 대중의 시선도 차가워졌다. 2014년 공급권 입찰 후 받았던 찬사가 불과 반년만에 뒤집혔다.

올해 입찰은 그래서 주목된다. 정부는 보다 더 가격을 강조한 입찰방식을 내세우며 공격을 되받았다.

정유사는 불만을 표시하고 있지만 점유율 확대와 대량물량공급처라는 이점은 놓치기 아까운 패인만큼 주판알을 굴리고 있다.

한국자영알뜰주유소협회는 화물복지카드 출시외에 자발적인 경쟁력 확충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계약 물량 준수를 독려해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도입 4년, 알뜰주유소에 대한 논란은 처음 그 자리, ‘가격’과 ‘특혜’에서 반복되고 있다.

시장 가격을 제어하는 균형추로서의 역할은 보물과 같지만 쉽게 수치화할 수 없고, 지속되는 지원과 효용성 논란은 정책도입 당사자인 정부와 수행자인 석유공사, 알뜰주유소 사업자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입찰 결과가 알뜰주유소의 역할과 가치, 나아갈 방향을 어떻게 나타낼 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