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우리나라의 에너지 비중이 전 세계적인 트랜드와는 정 반대의 길을 걷고 있어 우려된다.

오는 11일까지 개최되는 제21차 파리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21)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은 첫날 기조연설을 통해 신기후체제 협상 타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촉구하고, 한국은 기후변화 대응 선도국으로서의 국제적 위상제고에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을 이와는 거리가 멀다.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정책은 우리나라를 핵발전소 비중 세계 4위의 위치에 올려놓았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비중(1.9%)은 최하위권인 82위에 랭크돼 에너지 공급의 양극화가 가장 극심한 국가 중 하나로 꼽혔다.

신재생 공급비중은 유럽 선진국은 말할 것도 없고 미국(7.4%), 일본(3.8%), 중국(9%)에도 훨씬 미치지 못한다. 신재생에너지를 미래 전략산업으로 정하고 대규모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선진국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전 지구적인 트렌드에 한참 뒤지고 있는 셈이다.

최근 정부는 부랴부랴 2030년까지 100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에너지신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제대로 현실화 될 수 있을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설비 및 사용량이 10위권에 속하는 에너지 다소비 국가다. 지나치게 높은 핵 발전 의존도와 극히 낮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보이는 에너지 양극화를 해소하고 적정 에너지믹스 정책을 추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