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인천·충남·전남 곳곳서 친환경 발전설비 증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중심 전력체계 구축 땀방울

[에너지신문] 전 지구적 화두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발걸음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영향으로 태양이나 바람, 물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에 전국 지자체들이 발벗고 나서고 있다. 쾌적한 주거환경과 에너지 자립률 제고는 물론이고 궁극적으로 에너지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정부, 국비 밀어주고 LG CNS 등 대기업도 참여
제주, 2030년 탄소없는 에너지 자립섬 추진

지난해 프랑스 파리에서 폐막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파리협정’이 채택됐다. 파리협정은 ‘산업혁명 시기와 비교해 지구 기온 상승 폭을 섭씨 2도보다 훨씬 낮게 유지하고 더 나아가 1.5도까지 제한하도록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은 세계 7위 규모 온실가스 배출 국가다. 한국도 파리협정에 동참한 만큼, 감축에 적극적으로 앞장서야 할 의무가 생긴 것이다. 제조업에 강점을 가진 우리나라는 산업체에 “온실가스 배출을 무조건 줄이라”는 식의 규제만 요구해서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처럼 파리 기후총회 후 전 지구적 화두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발걸음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영향으로 태양이나 바람, 물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에 전국 지자체들이 발벗고 나서고 있다. 쾌적한 주거환경과 에너지 자립률 제고는 물론이고 궁극적으로 에너지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자립섬은 대표적인 미래형 에너지 기술로 꼽힌다. 한국전력은 전남 진도군 가사도를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섬으로 만들었다.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육지의 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받지 않아도, 친환경 에너지만으로 전력수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기술은 올해 8월 130억원의 기술료를 받고 캐나다에 수출됐다.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섬의 절반 이상을 에너지자립섬으로 만들 계획이다.

탄소 없는 섬 ‘제주도’

제주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전기 에너지의 100%를 충당하는 세계 최초의 ‘에너지 자립섬’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 기후변화 정상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의 정상들에게 ‘탄소 없는 섬 제주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함에 따라 정부와 제주도가 2030년까지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2690MW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제주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1996년부터 풍력자원을 개발하기 시작해 제주시 구좌읍에 행원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한 데 이어 1998년 국내 최초로 풍력발전 상업운전에 성공했다. 이후 제주는 풍력자원 개발을 확대해 현재 17개소에 216MW의 풍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으며 7개소에 381MW의 풍력발전소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2011년 5월 23일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제주특별법)’ 제221조의5 제1항에 ‘도지사는 제주도의 풍력자원을 공공의 자원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조항을 신설함으로써 경관 훼손과 소음피해, 지역 기여 미흡 등 풍력발전에 따른 문제들의 해결 방안을 마련했다.

실제 제주도는 이 같은 조항을 근거로 제주도 육·해상 전 지역에 대한 풍력발전 개발계획을 수립해 공표함으로써 청정 자원의 관리와 개발이익의 지역 환원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국내 대형 에너지공급사업자 및 에너지다소비 기업에게 부과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RPS) 및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사 및 기업의 대형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이 뿐만 아니라 육상풍력개발 제한으로 위축될 수 있는 도내 유지보수 전문기업 등 풍력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고사위기에 놓인 국내 풍력발전기 제조 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가능해졌다.

아울러 풍력발전설비는 청정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후변화협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게 됐다.

이 같은 제반 여건을 통해 정부와 제주도는 도내 풍력발전 용량을 오는 2020년까지 1090MW(육상 392MW·해상 698MW)로 확대한 데 이어 2030년까지 2350MW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여기에다 정부와 제주도는 현재 총 201.05MW 규모의 발전용량을 갖춘 기타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연료전지·해양에너지·바이오 및 지열) 발전 인프라를 오는 2020년 330MW, 2030년 850MW로 각각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처럼 정부와 제주도는 풍력을 중심으로 한 도내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오는 2030년까지 2690MW로 확대해 2030년 도내 총 전력사용예상량인 1만1334GWh 전량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 세계 최초의 ‘탄소 없는 섬’을 구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풍력발전소에 BESS(배터리이용 에너지저장 시스템) 설치를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실증운영에 돌입했으며 향후 ‘제주도 풍력발전 사업허가 및 지구지정 등에 관한 조례’에 BESS 설치 의무화 조항을 신설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산업부가 수립하는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에 오는 2030년까지 풍력발전 개발계획인 2350MW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변전소 용량증대 및 신설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제주도는 제주와 내륙을 연결하는 해저연계선(HVDC·초고압직류송전) 시설 개선 및 제3연계선의 조속한 설치도 정부와 협의해 나가고 있다.

향후 제주지역 풍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내륙으로 송전하기 위해서는 전압형 제3연계선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당초 2025년인 제3연계선의 완공목표년도를 2022년으로 앞당기기 위한 것이라는 게 제주도의 설명이다.

자립섬 발벗고 나선 ‘인천시’

인천시는 섬 프로젝트와 친환경 에너지 청정섬 조성 등을 목표로 에너지자립섬 사업을 추진을 중이다.

인천의 에너지 자립섬 대상 도서는 14개 섬이다. 이중 디젤발전운영섬은 서해 5도(백령, 대청, 소청, 연평, 소연평도)와 덕적도, 자월도, 승봉도, 울도, 문갑도, 백아도, 지도, 굴업도 등 13곳이고, 육상전력공급 도서는 강화군 석모도 1곳이다.

인천시는 이들 14개 섬을 에너지자립섬과 융복합 사업지로 나눴다.  에너지자립섬은 서해5도, 덕적, 자월, 승봉, 울도, 문갑도 등 10곳이고 융복합 사업지는 덕적, 백아, 지도, 굴업, 석모도 등 5곳이다.

인천시는 이들 섬에 대해 350억원(국비 43억원, 지방비 49억원, 발전사 30억원, 유관기관 50억원, 민간투자 178억원)을 들여 오는 2020년까지 태양광·풍력·지열·에너지저장장치 등 신재생에너지 공급시설을 설치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옹진군 덕적도 일원에 옹진군·지역 5개 발전사·민관협업 참여기관 등과 함께 2018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테마마을로 조선되는 ‘에코아일랜드’와 석모도가 대표적이다.

현재 1단계 사업으로 서포리 일원 108가구에 태양광발전 그린 홈·빌리지 사업을 완료했고 지역발전사 기탁금 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유관기관 협업사업 등의 태양마을, 바람마을 조성사업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수도권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천 강화군 석모도도 친환경 청정 에너지 섬으로 새롭게 태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석모도는 지난해 10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모한 ‘2016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강화군 삼산면(석모도)은 관광객 유치의 최적지로서 지난해에만 10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갔다. 휴양림, 수목원, 사찰, 온천수, 해수욕장, 갯벌, 등산코스 등 다양성을 품은 섬이자 사계절이 살아 숨 쉬는 자연의 보고이자 천혜의 섬이다.

인천시는 강화군과 함께 석모도에 총 사업비 13억원을 투입해 태양광 136kW와 지열 516.3kW 등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자연 휴양림 2개소, 수목원, 보건지소 및 온천체험관 등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현재 공사 중인 삼산 연륙교가 2017년 8월 준공돼 개통되면 석모도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번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을 강화군에서 추진 중인 온천체험 및 헬스케어 사업 등과 연계해 에너지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즐거움과 힐링의 체험을 만끽할 수 있는 복합 관광지로 변모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의 특징은 덕적도 에코아일랜드 조성사업, 백아도 탄소제로 섬 구축사업 등 그동안 추진해 오던 일반 도서지역의 독립형 디젤 발전방식과 달리 육상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도서지역에 신재생에너지 공급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사업을 통해 에너지비용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관광지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는 석모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과 병행해 주택 태양광 설치사업, 태양광 발전사업 등 주민 참여형 지원 사업도 석모도에 우선 반영할 계획이다.

충남도, 정부 융·복합지원 공모사업 선정

충남도는 서산시와 홍성군, 예산군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사업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에는 올해에만 총 2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서산시의 경우 고파도, 우도, 웅도 등 3개 섬에 태양광, 태양열, 풍력 생산설비를 설치하고 홍성군은 결성면 금곡리 일원 개별주택 47곳, 공공기관 3곳 등에 역시 태양광과 지열 생산설비를 구축한다. 예산군은 봉산면 구암·고도리 일원 개별주택 52곳, 공공기관 6곳에 태양광, 지열 생산시스템이 구축돼 에너지 소외지역 및 취약계층의 에너지 자립을 도모한다. 또한 충남도는 한화그룹과 손잡고 홍성군 앞바다에 위치한 죽도에도 에너지자립섬으로 탈바꿈 했다.

죽도는 약 31가구 70명이 거주하는 작은 섬으로 섬에서 필요한 전기는 디젤 발전으로 생산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해까지 정부 및 충남도, 충남 지역 2차전지· 신재생에너지 관련 중소기업과 함께 디젤발전을 태양광 등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했다.

에너지자립섬 조성으로 그동안 디젤발전을 위해 사용해온 약 9300만원 연간 유류비는 친환경 클린캠핌장 등 관광상품 개발에 사용된다. 관광산업을 통해 죽도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소득 증대에도 이바지할 계획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정부 융·복합지원 사업으로 지난해 아산 2개 지역에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지난해까지 에너지 자립섬인 홍성군 죽도와 자립마을인 보령시 성주면 1곳에 33억 7600만원을 투자해 총 4개 지역이 에너지 자립마을로 다시태어 났다”고 말했다.

대기업과 컨소시엄으로 총력 ‘전남도’

전라남도는 거문도, 진도, 조도 등 3개섬이 국책사업으로 추진한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설치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은 정부가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안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에너지신산업이다. 디젤발전기에 의존하며 전기공급이 부족한 섬 지역을 대상으로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장치 등 친환경에너지원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사업은 대기업과 지역기업, 섬 주민이 함께하는 사업이다. LG CNS 컨소시엄이 수행하게 되며 협약체결과 주민설명회 등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약 480억원을 투자해 섬 전체 소비전력의 44∼52%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게 된다. 섬 그대로의 자연경관과 조화를 고려한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을 조성한다.

또한 전남도는 민선 6기 브랜드 시책인 ‘가고 싶은 섬’ 가꾸기 등 섬 관광과 연계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전기자전거 셰어링 서비스, 신재생에너지 캠핑장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며 지역의 장학기금 조성과 특산품 구매하기 같은 지역사회 공헌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이번 공모사업 유치를 위해 전남도는 지난해 6월부터 시군과 산학연이 함께 하는 기획위원회를 구성해 여수 거문도, 진도 조도, 신안 흑산도의 현지조사를 거쳐 기획보고서를 작성했다.

이어 지난해 4월 LG, 포스코, 코오롱, KT, GS 등 대기업과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남도 에너지 자립 섬 설명회’를 갖는 등 사업 유치를 위해 기획을 시작으로 정부 대응 논리 발굴과 대기업 참여 유도, 사업 컨설팅까지 만반의 준비를 갖춰 이번에 쾌거를 이뤘다.

지금까지 전라남도는 정부사업 외에도 신재생에너지 자립섬 기본계획을 수립, 지난해 진도 가사도와 해남 삼마도를 준공했다. 올해는 진도 동·서거차도와 신안 상태도가 착공에 들어가는 등 도내 18개 섬에 거주하는 주민의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해 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정부 공모사업을 기획하면서 도내 기업 참여와 주민 복지 반영을 기본 원칙으로 삼아 추진한 만큼 도내 신재생에너지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주민 소득창출사업과 연계되도록 내실 있게 추진하고 앞으로도 신안 흑산도 등이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으로 추가 유치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