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며칠 전 문자 하나를 받았다. 발신처는 한전.

2년 전 신용카드로 요금납부를 자동이체 해놓은 이래 줄곧 해당 월 요금과 사용량, 전월 및 전년 동월 사용량까지 정리해 문자로 받고 있다. 은행에 가지 않고 월별 현황을 한눈에 알 수 있으니 편리하다.

도시가스는 다르다. 여전히 지로납부다. 2014년 10월부터 카드 납부가 가능하지만 제약이 많다. 자동이체는 공급사와 계약을 맺은 특정 회사의 특정카드로만 가능하다. 이사라도 하면 새 카드를 발급받아야 한다.

통합홈페이지가 없어 1회용 결제도 불편하다. 고객센터에서는 가스요금이 낮아 수수료 부담이 크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단다. 1000원짜리 껌도 카드결제할 수 있고 모바일을 넘어 핀테크가 떠오르는 지금 시대엔 뒤쳐진 불편이다.

또 다른 가스 이야기를 해보자.

지난달 취재길에 수원의 한 LPG충전소 앞 ‘최저가 668원’이라는 플래카드를 봤다. 경쟁의 산물이겠지만, 지난해 LPG가격은 대폭 내렸다. 고향집의 가계에도 도움이 됐을 법했다.

지난해 어머니께 LPG가격이 떨어지지 않았냐는 눈치 없는 질문으로 곤혹을 치렀던 만큼 이번엔 유연하게 물었다.

“곰탕 끓이려면 가스 많이 들 텐데 비싸지?”
“응, 통에 4만 2000원인가 3000원인가 해”

지난달 20kg 프로판 한통의 전국 평균가는 3만 5000원이었다. 고향집이 있는 강원도 평균가도 3만 5300원인데, 알 수 없는 가격이다. 시내와 10분 거리, 아파트 단지만 3개가 있는 동네지만, 사업자들에겐 추가금을 받아야 하는 오지인가 보다.

올해 가스업계는 ‘위기를 극복하자’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LPG업계는 지난해 8만대의 차량이 줄었고, LNG업계 역시 수요정체 및 연료전환 때문에 시황 악화를 겪고 있다. 세계적 추세에 따라 정부가 친환경에너지인 가스보급 확대를 위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물론 에너지산업은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중요하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기 위한 업계의 노력도 중요하다. 친환경성은 가스의 가장 큰 무기지만, 소비자들의 최우선 선택조건은 아니다.

싸고 편리할 때, 같은 선택지라면 더 나은 가치를 선택할 뿐이다. 정책 지원을 요구하는 한편, 보다 쓰기 편하고 값싼 ‘친근한’ 친환경에너지로 발돋움하기 위한 업계의 고민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