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우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광우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에너지신문] 우려와 달리 저유가에도 그린산업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4년 이후 재생에너지 투자와 전기차 판매는 계속 늘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한 위기감 확산과 G2의 저탄소 주도권 경쟁, 그린기술의 발전이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저탄소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전세계적인 저탄소 의지를 계속 자극할 것이다. 지난해 지구 온도는 관측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지난 겨울 북반구는 한파에 시달렸다.

기상이변 심화에 따른 피해규모가 증가하면서 환경은 경제만큼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다. 개도국 마저 신기후체제에 참여하면서 선진국 위주의 반쪽 짜리 기후변화 방지 체제(교토체제)가 세계적으로 확장됐다.

미국과 중국이 저탄소화에 적극적인 것도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 최대 경제대국이자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이들은 국내 온실가스 감축과 그린산업 성장 기반을 강화하면서 신기후체제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셰일혁명을 발판 삼아 저탄소에 자신감이 높아졌다.

중국은 석탄발전과 내연기관 자동차 확대로 미세먼지 문제가 심화되면서 환경보호에 적극적이다. 방대한 그린산업 내수시장을 가진 중국은 세계 최대 풍력 터빈 및 태양전지 생산국에서 전기차로까지 그린산업 강국의 입지를 넓히려고 한다.

지난해 중국의 전기차 판매대수는 전년 대비 146%(18만 3829대) 늘었고 전기차 생산대수는 351%(20만 3357대) 늘면서 미국과 유럽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그린기술의 빠른 발전도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풍력 발전은 이미 상당수의 지역에서 화석에너지 발전 대비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 받고 있고, 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는 기하급수적으로 하락하면서 그리드 패리티 달성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도 배터리의 무게와 가격, 주행거리 등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미래 기술로 여겨지던 그린기술이 실용화 문턱에 다가오면서 투자가 늘고 규모의 경제도 나타나는 등 자생력이 강화되고 있다.

그린산업이 정책적 지원 없이도 경쟁력을 확보할수록 신기후체제의 추진 강도가 높아지는 등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속도가 가속될 것이다.

또한 그린산업이 IT산업과 함께 미래 산업 변화의 주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저탄소 경제가 성장할수록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원 수요가 변화되면서 이와 관련된 산업과 국가의 성장 궤도가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에너지 순수입 국가가 풍력이나 태양광 모듈, 자동차 배터리 등을 수출하면서 에너지 관련 순수출 국가로 부상할 수도 있다. 온실가스 배출규제나 에너지 효율 기준 등이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활용될 수 있고, 그린산업을 선도하는 국가가 세계 경제를 주도할 수도 있다.

반면 석유 의존도가 높은 산유국들은 성장 활력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저탄소 경제 시대를 주도하려는 노력들이 각국에서 치열하게 전개되는 이유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유럽과 일본 등도 저탄소 정책이 강화되고 있으며 해외 시장 개척에 정상들까지 나서는 등 전력을 다하고 있다.

구글과 애플,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중국 등으로 대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저유가의 강도에 따른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저탄소 경제로의 행보는 계속될 것이다. 그린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록 저탄소 경제가 새로운 경제질서이자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세계 7대 온실가스 배출국이자 에너지 다소비 업종이 주요산업으로 포진해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력과 수송의 저탄소화, 그린산업 경쟁력 강화, 기존 산업과의 융합 등에 꾸준히 노력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효율화의 진전으로 에너지 수요까지 뚜렷하게 둔화되면서 에너지 공급 경쟁이 더욱 가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린산업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 심화에도 대비해야 한다.

시장의 성장 속도 보다 공급 확대가 빨라질 경우에는 단가 하락으로 수요가 자극을 받을 수는 있지만 공급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이다.

고효율 기술 개발에 노력하면서도 발전부터 소비까지의 토탈 솔루션 사업 발굴과 개도국 신시장 개척, 개도국 지원사업 참여 등을 병행하는 다각적인 사업역량 강화를 모색해 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