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2011년 3월 11일, 규모 9.0의 대지진이 일본 북동부 지방을 강타했다. 대지진에 이은 쓰나미로 후쿠시마 원전 1호기의 전원이 중단되면서 원자로를 식혀주는 긴급 노심냉각장치가 작동을 멈췄다.

세계 원전정책의 흐름을 뒤바꾼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이렇게 시작됐다. 원자로가 식지 않은 1호기에서는 다량의 수소가 발생했으며, 다음날인 12일 폭발이 일어났다.

이틀 뒤인 14일에는 3호기가, 15일에는 2호기와 4호기가 연이어 폭발하며 대량의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됐다. 오염 물질이 바다로 유입됨에 따라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원전 반경 수십km 지역이 순식간에 불모지가 돼버렸다. 사고를 계기로 상당수의 국가들이 원전건설 계획을 철회 또는 유보했다.

당사국인 일본은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국내에서도 탈원전을 외치는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발빠르게 후쿠시마 후속 조치를 수립, 이행하며 반대 여론을 잠재우려 애썼다.

하지만 사고발생 5주기를 맞은 현재, 우리의 원전 정책은 여전히 ‘신규건설’에 포커스가 맞춰지고 있다. 더구나 지금은 피크시에도 끄떡없을 만큼 예비력에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신규건설이 아닌 ‘해체’와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철저한 안전관리로 후쿠시마와 같은 참사가 일어날 확률이 제로에 가깝더라도, 이를 목격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불안감이 제로가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