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적은 투자로 높은 수익을 내는 방법은 무엇일까?

답은 간단하다.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면 된다. 투자 초보자부터 베테랑까지 모두가 아는 모든 투자의 기본이자 상식이다.

하지만 이 상식을 저버린 세계가 있다. 한국의 해외자원개발이다. 최근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유례없이 강도 높은 자구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안에는 인력감축, 연봉반납 등 직원들의 희생과 함께 비핵심 자산 매각이라는 문구가 빠짐없이 들어있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래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온갖 비판과 비난의 대상이 됐다. 에너지·자원 공기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와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정부는 공기업 정상화를 이유로 부채 감축을 위한 해외자산 매각을 종용했다.

이는 그대로 글로벌 시장에 전해졌다. 협상주도권을 완전히 내어준 셈이다. 정치권의 일회성 폭로가 이어지며 상세 계약 조항까지 까발려지거나 잘못 알려져 파트너사와의 신뢰도 깨지면서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여기에 2014년 하반기 시작된 저유가로 인해 자산가치가 반토막 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기업은 자산 매각에 혼신을 기울이고 있다. 몇 푼의 현금이라도 확보해 부채를 줄여보겠다는 심산이다. 이들이 지금 내놓은 자산은 2008~2010년, 고점에 구입한 것들이다. 비쌀 때 사서 쌀 때 파는 셈이다. 신규 투자는 없다. 정부는 올해 성공불융자 예산까지 전액 삭감하면서 민간 투자의 길도 막았다.

팔기 바쁜 우리와 달리 중국과 일본은 사들이기 바쁘다. 특히 일본은 수십조원을 들여 공격적으로 자원기업사냥에 나서고 있다. 지금이 기회라는 인식에서다. 일본 상사들은 아시아통화 위기 때 사들인 저가 자원사업으로 2008~2010년 사상최대 수익을 얻은 경험이 있다.

해외자원개발의 부실 추진에 대한 책임을 따지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면 고쳐야 하는 것이지 없애버려서는 안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 산업 중심 국가이면서 자원빈국인 만큼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안정적인 해외자원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원개발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정부의 정책 방향 전환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