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 해치는 성과연봉제, 강력히 맞설 것”
발전노조 초대위원장…‘전력민영화 좌초’의 중심

[에너지신문] “발전공기업 성과연봉제는 한국의 조직문화와 맞지 않는 잘못된 제도다. 이를 바로잡을 때 까지 내가 가진 모든 역량으로 발전노조 후배들을 지원할 것이다”

이호동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이하 발전노조) 조직강화위원장은 성과연봉제에 대한 명확한 반대 입장을 천명했다. 아울러 이를 폐지시키기 위해 ‘투쟁’할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초대 발전노조위원장으로 전력산업 민영화 저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다. 당시 그와 그를 따라 함께 투쟁에 참여했던 노조원들의 노력으로 민영화는 결국 무산됐다.

“정부의 전력산업 민영화 시도가 좌초된 국가는 전세계에서 우리나라가 거의 유일하다. 당시 함께 투쟁했던 노조원들의 피땀 어린 투쟁을 통해 이뤄낸 결과로 매우 높은 자긍심을 갖고 있다”

민영화 저지에는 성공했지만 잃은 것도 있었다. 당시 이호동 위원장을 포함한 노조원 348명이 해고 통보를 받은 것. 하지만 대국민 여론조사에서 전력민영화에 대한 반대 의견이 86%에 달하는 등 부정적 분위기가 형성되며 당시 일자리를 잃었던 대부분의 노조원들이 복직했다.

이후 한동안 민주노총에서 파견근무를 하며 노동자들을 대변하던 그는 지난달 ‘조직강화위원장’의 직함을 달고 다시 발전노조에 복귀했다. 전력산업 민영화 저지를 위해 투쟁했던 이호동 위원장은 이제 후배 노조원들과 성과연봉제 및 퇴출제에 맞서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기업은 전통적으로 연공서열(호봉)에 따른 급여체계다. 이를 파괴하는 성과연봉제, 퇴출제는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해고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당한 제도로 당연히 없어져야 마땅하다”

이 위원장에 따르면 성과연봉제는 평가 공정성 확보가 어렵고 조직문화를 해치는 등 부작용이 커 해외에서도 섣불리 시행하지 않고 있다. 특히 발전산업은 협업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성과연봉제 도입은 이러한 협업문화를 파괴하고 사내 개인주의를 조장해 업무 성과를 더 떨어뜨린다는 것.

전력민영화 저지 투쟁의 후유증으로 1000명까지 줄어든 조합원 수는 현재 2000명 수준으로 다시 세력이 커졌다. 발전노조는 여세를 몰아 내달부터 성과연봉제에 맞선다는 계획이다.

“4월 1일부터 새로운 노조 집행부가 업무를 시작한다. 동시에 성과연봉제 폐지를 위한 투쟁도 시작된다. 후배 노조원들에게 나의 활동경험과, 노조로서의 올바른 길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