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에너지 소비 3년 연속 1% 미만 증가 그쳐
2015년엔 0.7% 증가…에너지원단위는 개선

▲ 경제성장률 및 총 에너지 소비 증가율

[에너지신문] 우리나라의 경기침체가 에너지 소비통계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5년도 에너지수급 통계 잠정집계 결과에 따르면 총 에너지 소비는 2015년 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3~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연평균 에너지소비 증가율은 0.8%로 1% 미만의 증가율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2000~2012년 기간 동안 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3.1% 증가했다. 그러나 2013년 0.6%, 2014년 0.9%, 2015년 0.7%(잠정) 등 2013년 이후 에너지 소비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해 경제성장률 2013년 2.9%, 2014년 3.3%, 2015년 2.6%(잠정)를 크게 하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에너지 소비 증가세 둔화로 국가단위의 에너지효율지표인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는 2013년 이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는 2013년 0.203, 2014년 0.198, 2015년 0.195(잠정)를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원단위 개선은 동일 부가가치 창출에 투입되는 에너지소비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1인당 에너지소비량(‘15년 5.63toe)은 지난 10년 간 1.2배 증가했으며, 2011년 이후 안정화 추세가 뚜렷하다.

▲ 에너지원단위 및 1인당 에너지소비

최근 총에너지 소비 증가세의 안정화는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산업부문의 소비 증가율이 크게 둔화한 것이 주요인이다.

2015년 산업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전년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5년 산업부문의 에너지소비 둔화는 에너지다소비업종인 제철산업의 조강 생산량 감소(△2.6%) 및 수출 부진에 따른 석유화학업의 주요제품 생산량 감소(△1.2%)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기준으로 두 업종의 에너지소비량은 산업부문 전체 소비량의 68%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전기요금 인상, 전력수요 관리, 상대적으로 빠른 서비스업의 성장, 기온의 영향 등도 최근의 에너지 수요 안정화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전기요금이 2013년 11월에 평균 5.4% 인상됨에 따라 2014년 이후의 전력 소비 증가세 둔화에도 기여했다.
9.15 순환단전 및 빈번한 원전 가동정지에 따른 전력수급 불안정 해소를 위해 2011~2013년 기간 중 강력한 전력수요관리정책이 이행된 것도 전력 수요 증가세를 억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들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장세가 모두 둔화했지만 에너지 사용이 많은 제조업의 생산활동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둔화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 증가세는 더욱 하락했다.

기온의 영향으로 최근 3년간 난방용 에너지 수요가 꾸준히 감소한 것도 소비 정체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향후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성장이 진행되고, 신기후체제가 등장한다면 에너지 소비의 안정화는 새로운 추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설명이다.

▲ 1차 에너지 원별 구성

►2015년 에너지원별 소비 변화

원전 설비용량 확대 및 유가 하락으로 원자력(5.3%) 및 석유(4.3%) 소비는 증가한 반면, 석탄(△0.2%)과 천연가스(△8.7%) 소비는 감소했다.

원자력 발전량의 증가는 운영허가기간 만료로 2012년 11월에 가동이 정지됐던 월성 1호기의 2015년 6월 재가동 및 2015년 7월 신월성 2호기의 신규 가동의 영향이 컸다.

천연가스의 소비 급감은 기저발전 확대로 인한 가스발전량 감소, 유가 급락에 따른 도시가스 소비 감소(연료 대체)의 영향이다.

▲ 최종에너지 부문별 구성

► 2015년 최종 수요부문별 소비 변화

부문별로는 수송부문의 비중 증가(0.8%p)와 산업부문의 비중 감소(1%p)가 특징이다. 그러나 산업부문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2.6%로 여전히 압도적인 수준이었다.

수송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저유가로 인한 교통량 증가로 전년대비 6.1% 증가했다.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는 제철 등 에너지다소비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생산 활동의 둔화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가정부문의 소비는 안정세를 유지한 반면(0.7% 증가), 상업부문은 서비스업의 생산 활동 호조로 전년대비 4.0% 증가했다.

2015년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량은 1.8% 증가한 반면, 에너지 수입액은 유가급락으로 전년대비 42.7% 감소한 1027억 달러를 기록했다. 총 수입액 4365억 달러 중 에너지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3.5%로, 전년보다 9.6%p 하락했다.

▲ 에너지 수입액 및 총 수입액 대비 비중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