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및 송변전 설비 노후화…전력난 심각
北 설비 개보수 참여는 남북경협 선결과제

[에너지신문] 북한 경제의 최대 과제는 심각한 전력난을 해결하는 것이며, 이는 남북경협의 가장 시급한 선투자 요소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북한의 총 발전설비 용량은 약 725만 3000kW로 남한의 13분의 1(7.8%)에 불과하다. 특히 에너지 부족으로 산업가동율이 30% 내외에 머무는 등 극심한 전력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기준 북한의 에너지공급 규모는 1990년의 40% 수준에 불과하다. 다수의 에너지 생산설비가 제한가동 또는 가동 중지된 상황이다.

특히 20년 이상 된 노후설비가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있는데 원자력과 LNG 발전설비는 전무하며 수력(63%)과 화력(37%)이 양분하고 있다.

수력발전은 50년 이상 된 설비가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며 4분의 1에 불과한 20년 미만의 설비들은 잦은 고장과 출력 미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화력의 경우 러시아 및 중국에서 부품과 기술지원을 의지해 왔으나 기술지원 중단으로 유지관리가 부실한 상황이다. 설비 노후화에 저열량탄 사용과 혼소용 중유부족 등으로 발전기를 가동해도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송배전망도 열악하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송배전 손실률을 20~50%로 추정하고 있다. 100kW의 전기를 생산한다면 사용할 수 있는 전기는 80~50kW에 불과한 것이다. 그마저도 주파수 불량과 저전압으로 품질이 좋지 않다.

북한은 이처럼 전력공급 상황이 좋지 않아 기본적인 경제재건 정책 추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북한과의 경협 시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사업은 노후설비 개보수 등 전력설비 기반개선으로 꼽힌다. 현재 K-water와 한수원이 북한 수력발전 현대화 사업 참여를 계획하고 있는 등 이미 이에 대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발전설비는 물론 송배전 설비 역시 현대화가 시급하다. 특히 장거리 초고압송전선로 등의 건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장기적으로는 태양광, 풍력 등 대체에너지를 개발해 수력, 화력에 대한 절대적 의존도를 낮추는 것도 필요하다.

북한의 전력난 개선은 통일 이후는 물론 통일 전 남북협력 시기에 대규모 건설수요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평양 등 대도시 지역과 나진, 신의주 등 경제특구 지역에 대한 전력 시설 및 인근 발전소 시설의 현대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최대 50%에 이르는 송배전손실과 30년 이상의 노후화를 감안할 때 단순개보수 보다는 전면교체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박구원 한전기술 사장은 “북한 전력설비 개선은 우리나라 경제의 ‘제2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범정부, 범산업적 차원의 관심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