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4억원 비용 절감효과 및 CO₂ 3.5만톤 감소

[에너지신문] 서울시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인 물재생센터 에너지자립률이 50%를 넘어섰다. 환경부 목표연도 2030년보다 15년 앞당겨 달성한 결과다.

서울시는 지난해 4개 물재생센터 에너지사용량 분석결과 51.6%를 자립화했다고 3일 밝혔다.

그 결과 354억원 상당의 비용 절감효과를 거뒀고, 온실가스 3.5만톤 분량의 CO₂ 배출량도 감소돼 대기 환경 보존에도 기여했다. 환경부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 따라 시는 2030년까지 에너지자립률 50%를 목표로 했었다.

이러한 결과가 가능했던 이유는 바이오(소화)가스, 하수열 등 잠재에너지 활용시설을 적극 확대했기 때문이다. 시는 하수를 맑은 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바이오 가스를 정제해 물재생센터 자체 에너지 사용 및 열병합발전사업 등에 활용했다. 하수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약 11℃~27℃의 방류수 기화 시 나오는 하수열을 지역난방에 공급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하수처리 과정의 최종 부산물인 하수찌꺼기, 슬러지를 건조해 사용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슬러지 건조재를 화력발전소 연료 및 시멘트 원료로 판매해 수익을 창출했다.

또한 노후시설의 성능을 개선하고 하수처리 자동화를 도입하는 등 시설정비로 에너지사용량을 절감했다. 하수처리시설 전체 소비전력의 48.9%를 차지하는 송풍기의 노후화 개선 등이 그 예다.

이철해 서울시 물재생시설과장은 “에너지 자립률 향상에 효과적인 슬러지 건조시설을 2018년까지 확대설치 예정”이라며 “소수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하고 송풍기 성능 개선, 자동화사업 등 각종 시설정비를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