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에너지공기관 기능조정 후속조치 마련
역할분담 및 협력체제 통해 원전수출 성과 기대

[에너지신문] 한전이 주도했던 국내 원전수출사업이 앞으로는 한전과 한수원의 '투톱' 체제로 바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우태희 2차관 주재로 원전수출 주요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 세부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원전수출추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주요 사업별 추진현황을 점검하면서 앞으로 국내 수출노형을 다양화하고,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등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에너지 공공기관 기능조정의 후속조치로 원전수출 공기업간 협업체계 및 조직강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에 따라 원전수출 추진체계가 대폭 보강된 만큼 보다 역동적인 수주활동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 도출도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회의에서는 원전수출 주요 사업에 대한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과제에 대해 집중 논의가 진행됐다.

먼저 용량 변경, 안전성 강화 등 발주국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노형을 다변화하고, 플랜트 이외에도 원전기자재, 운영 및 정비 서비스 수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기자재 분야는 수출금융, 판로개척 등 기자재 업계 전담기관(원전기자재수출법인)을 운영하는 방안이 논의됐으며 운영 및 정비 분야의 경우 해외 운영사와 국내 운영사(한수원)간의 제휴로 서비스 수출시장을 개척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글로벌 원전 기업과의 공동 지분투자 등 전략적 제휴도 강화, 수출 가능한 시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공공기관 기능조정으로 한전은 물론 한수원도 원전수출 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관별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담하고, 양기관간 협조체계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한전은 해외사업 수행경험 및 마케팅 역량, 풍부한 자금조달 능력의 강점을 살리고 한수원은 국내원전 운영경험 다수보유, 원전 노형설계 변경 등 기술대응을 맡을 전망이다.

아울러 수주활동의 신뢰성, 연속성을 고려해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국가나 프로젝트는 한전이 수행하되 기술요건이 주요인인 경우는 한수원이 주관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 한전, 한수원, 학계, 업계 등으로 구성된 원전수출협의회를 신설, 이를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 협의회는 국가별 주관기관 선정, 사업단계별 협업기능 조율, 프로젝트별 수주전략 수립 등을 주요 업무로 한다.

또한 한전, 한수원 양 기관의 원전수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개발, 금융지원 등 기능별 인력을 확충하고 현지 해외지사 인력도 보강해 본격적인 수주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전은 부사장 직속의 해외전략금융처를 신설, 해외지사 인력을 추가배치하고 한수원은 본부급 원전수출 전담 조직을 확대 개편하고 해외전문가 양성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이번 수출 공기업 기능조정을 통해 원전수출 전력이 대폭 보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국가 및 프로젝트별로 강점을 지닌 주관기관이 보다 역동적으로 수주활동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전수주 협상시 가격경쟁력, 시공역량 중심의 원전 세일즈에서 노형 선진화, 운영서비스 등도 포함되면서 수주 협상력도 높아질 것이라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산업부는 이날 논의된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관련 고시를 8월말까지 개정하고 원전수출협의회를 구성, 본격적으로 가동할 계획이다.

우태희 차관은 “UAE 원전수출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보다 적극적인 수주활동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선점해야 할 때”라고 강조하면서 “한수원도 원전수출 활동에 참여하게 돼 전력이 대폭 보강된 만큼, 다각적인 원전 수주활동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