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기후기술 기반 신기후체제 대응 산학연 간담회 가져

[에너지신문] “결국 기술혁신 외에는 답이 없다!” 기후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며 제시된 말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2일 KIST에서 홍남기 제1차관 주재로 기후기술 R&D 주무부처이자 글로벌 기후기술 협력창구(NDE)로서 ‘기후기술 기반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NDE(National Designated Entity)는 국내 기술협력의 우선 순위 결정 및 선진국ㆍ개도국 간 기술협력을 총괄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가지정창구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이달 4일 파리협정 발효와 7일부터 18일까지 열린 제22차 기후총회(COP22)를 계기로 기후기술 혁신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0년 배출량(BAU) 대비 37%)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기후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종전에는 정부의 역할이 차세대 기술 개발에 그쳤다면 이제는 한 발 더 나아가 ‘기술 개발 → 민관 공동 실증 및 산업화 → 글로벌 기술협력 플랫폼을 통한 해외 진출’ 등 전 주기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미래부 측은 밝혔다.

또 12개 기후산업육성모델에 대한 세부 추진방안에 대한 기술적ㆍ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산업화 및 글로벌 진출 방안을 논의했다.

미래부는 지난 10월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크고 새로운 기후산업 창출이 가능한 사업화 모델 ‘기후산업육성모델’ 12개를 발굴한 바 있다.

발굴된 모델은 빌딩 태양광 발전, 냉난방 동시 지원 삼중열병합 연료전지 기술개발 등 올해 2개 모델에 이어 2017년 4개 모델 등 단계적으로 필요한 원천기술을 패키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기술개발 기간(5년) 후에는 실증 및 민간 확산 과정을 거쳐 2030년에는 연간 100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개발된 기후기술이 협소한 국내 시장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지원체제를 통해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기술지원체제를 기반으로 신시장 개척과 국제 탄소배출권 확보 가능성을 제시하는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글로벌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민관 협력 방안도 모색한 것. 기술지원체제는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술적 역량이 부족한 개도국에 대한 기술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구성 운영되고 있다.

간담회를 주재한 홍남기 제1차관은 “우리나라는 주력 산업의 투자 여력이 충분치 않은 데다 좁은 국토와 계절변화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어려워 온실가스 감축이 쉽지 않은데 결국 기술혁신 외에는 답이 없다”며 “기후기술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