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택 한국풍력산업협회 회장

[에너지신문] 2016년 말, 국내 풍력·태양광 설비 누적 설치량은 풍력이 1GW, 태양광이 3.5GW를 기록했으며, 전력공급량은 풍력이 1.5TWh, 태양광이 1.8TWh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전력 수요의 0.3%와 0.4%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아직 전력수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전기사업허가를 받은 육상풍력 설비용량은 6GW 규모이고, 현재 전체 35MW가 운영되고 있는 해상풍력은 개별 추진 중인 사업이 3.3GW에 달한다. 모든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된다면 누적 설치량이 10GW를 돌파하여,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목표인 8GW를 능가하게 된다.

국내 풍력설비는 1998년 첫 설치 이래 18년 만에 1GW 설비 용량을 갖추게 되었다. 화려한 실적은 아니나, 설비용량 1GW 돌파 시점부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영국이 2005년 1.3GW에서 2015년 13.6GW로, 독일이 2005년 3GW에서 2015년 44.9GW로, 미국이 2000년 2.5GW에서 2015년 74.4GW로 증가했으며, 중국은 2005년 1.2GW에서 2015년에 145GW로 가히 폭발적인 증가를 보였다. 같은 관점에서 우리나라도 풍력설비 증설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세계풍력협회(GWEC)와 Greenpeace에서 2015년에 발표한 에너지 혁명(진화)(energy [R]evolution)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2050년경에는 100% 재생에너지로 전체 전력수요를 충당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발표한 바 있으며, 미래에는 전력은 물론 운송수단의 에너지 공급도 재생에너지에서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계획 대비 초과 달성 기록을 세우고 있어 시나리오 현실화가 머지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언제쯤 그런 상황이 도래할까? 에너지 혁명 시대에 화석연료와 원자력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하는 것은 이해가 되나 달성 시점에 대해서는 냉소적인 견해가 많다. 태양광은 건설 단가가 지속 하락하여 지역 여건에 따라 소위 화석 연료와 발전단가 경쟁이 가능한 상태(Grid parity)에 도달했거나 가까운 장래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풍력분야도 계속 건설 단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육상 풍력 분야는 Grid parity에 도달하였다고 한다.

국내 전력수요를 총 550TWh로 전망하였을 때, 태양광이 국토의 2%, 즉 제주도 면적과 같은 1800km²에 설치하면 110GW를 건설해 173T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부유식 해상풍력은 해수면적의 1.6%인 7632km²(제주도 면적의 4배)를 점유하여 설치 가정 시, 88GW를 건설, 270TWh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육상풍력과 고정식 해상풍력 12GW 건설로 26TWh의 추가 전력공급이 가능함으로 태양광에서 전체 전력수요의 약 35%, 풍력에서 약 53.7%를 담당, 총 88.7%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100%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재생에너지 강국인 유럽의 에너지전환 달성 시기를 2050년으로 예상한다면, 우리나라는 그 보다 15년 뒤인 2065년경으로 전망해 본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에너지 전환 시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여야 할 전력계통(Power Grid) 운영 조직이 송전과 배전 설비를 아울러 분산 전원의 기본이 될 수 있는 22.9kV와 154kV선로를 배전선로 개념에서 전력망 개념으로 전환 운영해 재생에너지의 계통연계 비용을 절감, 저변확대에 이르도록 해야 하며, 해상풍력 인근 해역에 345kV 변전설비를 구축, 운영하고 투자비는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요금에 추가로 징수해 부담하는 제도를 수립해야 한다.

일정 기간 동안 추가적인 전력요금 부담 각오를 해야 한다. 그러면 장기적으로는 전력요금이 저렴하게 되어서 혜택을 받게 될 것이다. 더불어 고용 증대, 제2의 조선·해양 플랜트 산업 육성으로 인한 수출 증대, 에너지 자립 증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목표치 달성, 미세 먼지 해결, 지진으로 우려가 커진 원자력에서의 해방 등 여러 측면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성 확보와 금융 조달을 위한 발 빠른 조치를 취하고 있어 사업확대 전망이 밝다. 신재생에너지 20년 고정 장기계약 등을 통해 금융권에서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사업의 사례를 쌓아간다면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어 국내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촉진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