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임택 한국풍력산업협회 회장

[에너지신문] 신재생 산업계를 대변하는 목소리를 들어보는 에너지신문 ‘릴레이 인터뷰’, 이번 순서는 이임택 한국풍력산업협회 회장이다. 국내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최근 2년간 비약적인 성장 가도를 달려왔다. 이러한 신장세(伸張勢)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의 풍력산업 육성 의지 또한 높은 고무적 상황이다. 하지만 풍력사업 현장 도처마다 지역민 수용성 문제로 첨예한 갈등상태에 놓여 있는 현실 타개는 요원한 감이 있고, 각종 규제 역시 명쾌하게 풀리지 않는 지난한 과제다.

풍력산업의 과제, 신재생으로 에너지전환이 요구되는 전력수급의 과제와 같은 산적한 시대적 테마, 이임택 회장에게 듣는다.
 

신재생 전력수급 전환은 국민의 힘

주민수용성 문제 등 해법, 해상풍력서 찾아야


“국내 전체 발전량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임택 회장은 발전량이 표기된 지도를 내밀었다. 그곳에는 제주도 부근 등 삼면의 바다 곳곳에 ‘22GW’라고 표기된 부분이 네 군데 있다. 부유식 해상풍력으로 해수면적 1.6%, 즉 제주도 면적의 4배에 해당하는 7632km²를 점유 설치함으로써 88GW를 건설한다는 구상도다.

“국내 전력수요를 총 550TWh로 전망해 놓고 이 88GW 해상풍력으로 전력량 270TWh 생산이 가능합니다. 전 국토의 2%, 즉 제주도 면적과 같은 1800km²에 태양광 110GW를 건설해 173TWh를 생산할 수 있어요.”

또 육상풍력과 함께 고정식 해상풍력 12GW 설비로 26TWh의 전력공급이 추가로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전체 전력수요에서 이처럼 풍력이 약 53.7%, 태양광이 약 35%를 담당함으로써 총 88.7%의 수요전력을 생산하고 여타 모두 합쳐 청정 신재생에너지만으로 100% 전력공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풍력과 같은 신재생발전 사업 현장에서 현재 부딪히게 되는 각종 규제와 주민 수용성 문제 등의 해법은 해상풍력에서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해상풍력 사업은 정부의 정책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이 회장은 세계풍력협회(GWEC) 컨소시엄 프로젝트 보고서를 인용하며 “정부의 해상풍력의 역할에 대한 일관된 정책 목소리는 산업계 전반에 스며들어 때로는 명쾌한 규제 솔루션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고 들려줬다.

자연스럽게 논의는 정부 정책, 특히 ‘한전’에 대한 이야기로 흘렀다. 이 회장은 “정부는 현재 한국전력을 통해서 발전ㆍ송전 부문을 과점하고 있는 상태”라면서 “소수의 대형 발전소와 대규모 송전 중심의 전력산업 시스템에서 이제는 ‘분산형 전원’으로 전환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시기”라고 진단했다.

파리협약 지난해 11월 발효, 2030년 BAU 대비 37% 온실가스 감축, 올해 예정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그리고 최근 원전지역 지진 현상 등 작금 전력믹스와 전력정책 대응은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형 발전 확대로 연결되는 것이 필연이라는 현상 파악이다. 신재생에너지의 중심인 태양광과 풍력은 태생적으로 ‘분산형’이다.

이 회장은 “파워 그리드(Power Grid), 즉 전력계통 운영 조직은 에너지 전환 시대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면서 “송ㆍ배전 설비를 아울러 분산 전원의 기본이 될 수 있는 22.9kV와 154kV선로를 배전선로 개념에서 전력망 개념으로 전환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이로써 신재생에너지의 계통연계 비용을 절감해 저변 확대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상풍력 인근 해역에 345kV 변전설비를 구축해 운영하고 투자비는 신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요금에 추가로 징수, 부담하는 제도를 수립하는 방안도 덧붙였다.

“이렇게 되면 전력요금 추가 부담을 일정 기간 동안은 각오해야 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전력요금이 저렴하게 됨으로써 혜택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와 함께 이 회장은 고용 증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목표치 달성, 미세먼지 해결, 에너지 자립 증대, 무엇보다도 지진으로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원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회장은 GWEC 발표를 언급하며 “2050년쯤 되면 유럽 사회는 100% 신재생에너지로 총 전력수요를 충당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그보다 15년 정도 지나서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렇게 100%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또 한 번 강조하건대 정부가 의지를 갖고 일관적인 정책을 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정부 정책을 움직이는 건 결국 국민의 힘입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