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SA 1차 운영위 개최… ‘상용화’ 도약 결의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G2(미국과 중국)와 인도, 호주 등은 반드시 탄소포집저장(CCS) 인프라를 늘릴 수밖에 없으며, 이 분야를 선도해 온 한국은 ‘국제사회에서의 리더십’과 ‘플랜트 수출을 통한 경제적 이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거머쥘 기회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G2와 인도 등 개발도상국들은 전 지구적 기후변화협약에서 더 이상 ‘훼방꾼’ 역할이 아닌 주도권을 가지려 할 것이고, 신재생에너지 상용화 단계에 이르는 20~30년 이후까지는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 대부분을 흡수해 처리하는 CCS’가 이들의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주장이다.

 (사)한국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협회(KCCSA, 운영위원장 한종훈 서울대 교수)는 29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11 제1차 운영위원회’에서 이 같은 비전을 밝히고 “한국은 높은 CCS 기술 연구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실증(Substantiation) 및 수출을 주도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KCCSA가 국내외 각종 연구결과를 인용해 밝힌 바에 따르면 미국의 석탄 화력발전 비중은 약 50%이며, 지구촌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80%)과 인도(70%) 역시 매우 높다. 이는 이들 국가들의 석탄 매장량이 높고 조달비용도 싸기 때문이다.

한종훈 KCCSA 운영위원장은 “성장 모멘텀이 가장 큰 G2와 개발도상국들이 화석연료 중 이산화탄소 발생기여도가 가장 높은 석탄을 계속 이용하면서도 기후변화협약 등 새로운 국제사회의 질서에서 주도권을 행사하려면 CCS를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날 KCCSA 1차 운영위원회에는 CCS 과학기술자는 물론 법률가와 금융전문가, 정책전문가, 국제CCS기관 한국대표 등이 대거 참석, CCS 실증과 수출 등 국가 차원에서 계획된 '상용화‘ 과제들에 대해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이는 그동안 한국의 CCS 이니셔티브가 과학기술 과제를 중심으로 상용화 전략의 비전을 제시하고 차근차근 준비해 왔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비전이 차츰 가시화 되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한종훈 KCCSA 운영위원장은 “2020년까지 국제 수준의 대용량 실증 플랜트 2기를 건설, 2030년까지 누적매출 수출 100조원을 목표로 상용화를 준비해왔다”면서 “실험실을 벗어나 지구촌 도처에서 한국 CCS 전문가들의 열정과 능력을 보여줄 때”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운영위원회에서는 한국전력 전력연구원의 장경룡 처장과 한국가스공사 양영명 단장, 한국해양연구원 강성길 선임연구원이 각각 CO₂포집기술 현황과 발전방향, 천연가스 생산과정에서의 CO₂처리, CO₂해양지중저장 등에 대한 주제 발표를 했다.

또 박상도 ‘Korea CCS 2020’ 사업단장이 CCS 상용화를 위한 종합계획 차원의 원천기술 현황과 청사진을, 박종백 변호사(법무법인 에이펙스)가 ‘CCS 관련법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