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전기차의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보급대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글로벌 전기차 보급대수가 약 1500만대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더욱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와 더불어 충전기대수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여전히 불편함을 느낀다. 충전기를 쉽게 찾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전기차의 보급도 중요하지만 충전기를 얼마나 쉽게 소비자에게 접근시키는 가가 중요한 변수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에서는 전기차의 가성비 증가는 물론 충전기에 대한 표준과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3년 전부터 웬만한 충전기회사는 모두 대기업에서 인수하거나 투자를 해 대기업 모델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점도 장기적인 목표로 충전사업의 활성화는 물론 관련 산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움직임이라 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의 충전기는 연결방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일본 제작사 중심으로 활용되는 차데모 방식과 르노그룹 등 일부 제작사 중심의 AC3상 방식, 그리고 미국 제작사와 BMW 등에서 활용되던 DC콤보 방식이다.

여기에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은 독자적인 방식을 고수, 최근까지 자의 특성에 맞춰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앞써 언급한 3가지 타입의 충전방식을 모두 종합적으로 제품화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충전 방식이 다른 이유는 보급하고 있는 전기차와 전기에너지 보급 측면은 물론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 자동차업체가 유리한 충전타입을 적용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기차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증가하면서 각각 다른 충전타입으로 인한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 즉 전기차 보급대수가 늘면서 충전 타입에 대한 통일성이 중요해지기 시작한 것.

이는 예상가능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 다양했던 충전케이블 방식이 최근에야 통일된 부분이 그렇다.

이처럼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충전 타입의 주도권 전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물론 전기차 충전의 경우 3가지 타입이 3년 전부터 하나로 정리되고 있다. DC 콤보방식 중 타입1(CCS)이 통일화된 충전 타입으로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도 CCS 콤보1의 충전타입을 표준화 모델로 도입, CCS 충전방식이 일반화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충전 타입에 대변혁이 일고 있다. 미국 제조사의 지원에 힘입어 전기차 혁신의 아이콘인 테슬라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던 충전 타입인 ‘NACS’으로 통일화를 기하고 있는 것이다.

테슬라 충전 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해 우선 포드는 테슬라와 충전방식을 합의했고 GM도 동조했다. 여기에 스타트업인 리비안도 가세, 힘을 보태고 있다. 

앞으로 스텔란티스까지 합류하면 이른바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 ‘빅3’인 GM, 포드, 스텔란티스 모두가 테슬라 방식으로 통일화되는 것이다. 이처럼 미국 제조사들이 테슬라의 충전 타입인 NACS 방식을 모두 도입하면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우선, 테슬라는 전기차는 물론 충전 타입도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영업이익률도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테슬라의 독주가 더욱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이미 불편함을 갖고 있는 글로벌 ‘수퍼 차저’의 알고리즘 관리와 충전기기 관리도 큰 사항이 될 수도 있다.  

앞으로 글로벌 충전 시장은 변화가 예상된다. 테슬라 충전 방식으로 전환될 수도 있고, 그렇치 않을 수도 있다.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국가 표준화된 CCS 콤보1은 그대로 진행하고 충전기수도 크게 증가했다. 때문에 국내 시장에서 테슬라는 연결 어댑터인 독자 젠더를 활용,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충전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테슬라의 충전 방식의 확대는 결코 좋은 사안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시작단계인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향후 전략을 고민하는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의 향방을 면밀하게 확인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