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본격 시행
입찰제도 참여·수요관리(DR) 등 관련 사업 활발

[에너지신문] 오는 6월 분산법 시행이 가까워지면서 통합발전소(VPP) 등 분산법 관련 사업이 추진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해줌이 국내 최초로 전기차 자원을 활용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해 VPP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존 전력 시스템은 대규모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을 장거리 송전망을 통해 수도권 등의 원거리로 공급하는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은 원전 설치, 송전망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 수용성 이슈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리스크 관리가 취약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 해줌 VPP 관제실에서 통합자원을 관리하는 모습.
▲ 해줌 VPP 관제실에서 통합자원을 관리하는 모습.

정부는 소비 지역에서 직접 전력을 생산 및 소비하는 분산에너지를 활성화하고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에너지 저탄소화를 실현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분산법)을 공포했다. 분산법은 에너지 관련 첨단 기술을 활용, 분산에너지를 활성화하고 에너지 공급을 안정화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분산법은 올해 6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VPP, 전력계통영향평가,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설치의무제도, 배전망 관리 강화, 지역별 요금제 등이 있다.

특히 분산법의 핵심 중 하나인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 사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통합발전소 사업은 ICT1 기술을 활용, 분산된 소규모 에너지 자원을 연결 및 제어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것이다. A 태양광 발전소와 B 풍력 발전소, C 전기차 충전소 등 분산에너지를 하나로 연결, 가상으로 만든 D라는 통합발전소로 운영한다.

지난해 글로벌 VPP 시장 규모는 1조원 이상으로, 새롭고 다양한 VPP 관련 사업을 통해 2029년에는 약 5조원까지 급성장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대기업을 비롯해 다양한 사업자들이 통합발전소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해줌 역시 통합발전소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줌은 발전량 예측 기술, xEMS3 등 다양한 기술개발 등을 통해 통합발전소 사업에 나서고 있다.

국내 1호 전력중개사업자인 해줌은 국내 최대 수준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태양광뿐만 아니라 풍력 혼합자원 최초 등록에 성공했다. 오는 2월부터 시행 예정인 제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준비하고 있는 해줌은 입찰제도 참여를 위해 제어 기술을 개발했으며, 국내 최초로 제주 발전사업자를 위한 세미나 개최를 통해 다수의 제주 자원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전력 입찰을 위한 플랫폼인 해줌V를 개발했으며, 국가 R&D를 통해 300억 원 규모의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같은 활동을 인정받아 해줌은 지난해 11월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 활성화 협의회’ 의장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협의회의 부의장사는 에너지공단, 한전, 전력거래소 등이며 통합발전소 관련 기업이 주요 회원이다.

▲ VPP 플랫폼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해줌 직원들.
▲ VPP 플랫폼 관련 업무를 진행하는 해줌 직원들.

해줌은 태양광, 풍력 등 전기 생산을 통한 공급형 VPP뿐만 아니라 수요형 VPP를 통해 융합형 VPP를 준비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와 달리 수요형 VPP는 DR 자원을 통해 전력량을 자동 제어(Auto DR) 할 수 있어 ESS와 같은 유연성 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IT 기업인 해줌은 직접 개발한 DR 플랫폼인 ‘해줌온’을 활용, DR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표준형 및 국민 DR에서 플러스 DR로 사업을 확대했으며, 최근 FAST DR 참여를 준비하면서 수요형 VPP에서도 앞서 나가고 있다.

국내 최초로 전기차(EV) DR 사업을 시작한 해줌이 보유하고 있는 전기차 충전기는 국내 최대 수량인 2만여개로 국민 DR 자원 등록까지 완료했다. 현재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아파트, 창고, 편의점 등을 활용한 국민 DR 사업을 추진 중이며 그 대상과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권오현 해줌 대표는 “해줌은 10년 이상의 업력을 바탕으로 발전량 예측, 플랫폼 개발, 재생에너지 자원 운영에 대한 경험과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며 “분산에너지와 관련, 지난해 10건의 MOU를 맺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기업 및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