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준 전국보일러설비협회 회장

저탄소녹색성장은 정부의 각종 제도 도입·지원·규제와 함께 가정·기업·NGO·공공기관 등 모든 국민 주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실천운동을 할 때 그 성과가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 분야 저탄소 생활실천 운동은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뜻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정용 에너지 분야는 저탄소 실천 운동의 시작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정부가 아무리 제대로 된 정책을 펼친다 해도 국민 개개인이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않으면 저탄소녹색성장을 위한 결과물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가정용 에너지 생활실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전제품의 절전운동 또는 고효율 가전제품설치 및 효과적인 사용을 통한 에너지절약’이 첫 번째이고, ‘보일러 등 난방분야의 진단·청소·교체 등을 통한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효율향상’이 두 번째다.

그러나 여기에는 맹점이 있다. 전기절약보다 가스절약에 대한 방법을 국민들이 잘 모른다는 것이다.

가전제품의 절전생활실천은 국가와 관련 기관의 지속적이면서 적극적인 홍보로 국민들에게 어느 정도 익숙해진 상황이다. 플러그 뽑기, 필요없는 등불 끄기, 냉장고 자주 여닫지 않기 등 오래 전부터 대국민 홍보를 통해 어떻게 하면 전기사용을 줄일 수 있을까를 알려온 것이다.

그러나 보일러 등 난방분야는 절약방법이 막연하다. 전기처럼 가스를 끌 수 없기 때문이다.

설사 외출 등의 이유로 보일러 가동을 잠시 중단한다고 해도 다시 가동을 하면 절약한 만큼의 가스가 더 소비되는 것은 많이 알려진 상식이다. 대기전력처럼 대기가스 소비가 있는 것도 아니라 가스소비를 줄일 방법은 어렵게 느껴진다.

또 방법이 있음에도 제도적인 지원 또는 홍보가 미흡해 국민이 어떻게 하면 가스 에너지 절약을 실천할 수 있을지 모르는 때도 많다. 겨울철 실내온도 18~20℃ 유지하기, 내복입기, 음식조리 때 중불로 놓기, 창과 문을 단열제품으로 시공하기 등은 가스절약의 소극적 방법 중 하나지만 국민이 그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어 좀 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더 적극적인 가스절약의 방법도 있다. 이것은 국민뿐 아니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사항들이다. 보일러 진단과 청소에 대한 지원이 대표적 예다. 전제 보일러 사용 가구 수의 20% 이상이 7년 이상의 오래된 보일러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래된 보일러는 효율이 낮아 많은 가스를 소비한다. 이러한 보일러를 찾아 청소를 해 주거나 교체비를 지원해 주면 국가적인 가스 소비는 눈에 띄게 줄어들 것이다.

정부 기관이 나서서 보일러가 원래 가지고 있는 고유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진단해 교정해 줘야 한다. 이러한 점검은 효율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까지도 예방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몇 년 전 정부는 2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 고효율보일러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주택법을 발표한바 있다. 새로 설치하는 보일러에 대한 내용으로 국가 정책이 에너지기기 고효율화로 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아쉬움이 있다. 기존에 설치한 노후 보일러에 대한 대책이 나올 법 한데 아직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가스안전공사 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보급된 가스보일러가 약 1200만대 수준이다. 일부에서는 콘덴싱보일러의 보급률이 최근 8% 이상 올랐다고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점진적으로 보급이 확대된 것이므로 현재의 콘덴싱보일러 보급률은 5% 미만으로 봐야 옳을 것이다. 1200만대 보일러 중 고효율보일러가 60만대이고 나머지 1100만대 이상은 일반보일러로 파악해야 한다.

기존에 설치한 보일러의 대대적인 교체 없이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가정용 에너지기기의 고효율화 정책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오래된 보일러에 대한 실태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그리고 일정 기준 이상의 효율을 내지 못하는 보일러에 대해서는 고효율제품으로 교체를 권장하고 이를 국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야 한다.

일부 국민은 국가의 에너지 정책 기조인 저탄소 녹색성장이 장기적인 정책이니 지금 바로 실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때가 있다.

이는 먼 미래를 위한 것이 아니다. 지금 당장 실천해 최대한 빨리 이뤄야 하는 정책임을 말하고 싶다. 다만 정부의 행정적 지원과 함께 국민이 관심 갖고 참여 할 때 달성할 수 있을 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