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선도국 가는 엔진역할 감당할 수 있을지 관심
3일, 산업부 직제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11일 시행 예정
“미래차과 신설로 미래차 산업 육성에 더욱 힘이 실릴 것”

[에너지신문]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의 전방위적 지원을 위해 신설한 전담부서인 '미래자동차산업과'가 미래차 선도국의 엔진 역할을 감당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자율주행차와 친환경차 산업의 전담부서로서 ‘미래자동차산업과’를 신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미래차 시장 초기 선점에 박차를 가한다.

▲ 운전자 편의와 안전에 무게를 둔 다양한 기술을 탑재한 자율주행차.
▲ 운전자 편의와 안전에 무게를 둔 다양한 기술을 탑재한 자율주행차.

산업부와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3일 ‘미래자동차산업과’ 신설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으며 11일에 시행될 예정이다.

그간 미래차 관련 업무는 산업부 자동차항공과에서 수행해왔다. 하지만 친환경차를 비롯한 미래차에 대한 세계시장 경쟁이 가열됨에 따라 보다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전담 조직의 필요성을 인지, 미래차과를 신설하게 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세계 주요 국가는 이미 미래차 전환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다수의 조사기관에서는 2030년까지 레벨3 이상 자율주행차가 세계 신차의 50%(SNE), 수소·전기차는 20~30%(내비건트리서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미국 GM은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기업을 직접 인수해 2023년 전기차 20종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고, 폭스바겐도 2025년 전기차 30여종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토요타는 2030년 전기차 550만대를 생산하기 위해 소프트뱅크와 ‘자율차 JV’를 설립했다.

정부는 2022년을 ‘미래차 대중화의 원년’으로 잡고 전기·수소차 판매비중 10%, 자율주행 레벨3 출시를 목표로 세웠다. 그리고 2025년까지 미래차 중심 사회·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범부처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수소차 누적 133만대 보급·수출 53만대를 목표로 세웠고 2023년 자율주행 레벨3 본격 출시와 2024년 레벨4 일부 상용화, 2030년 부품기업 1000개 미래차 전환을 달성하겠다는 각오다. 

이에 신설한 미래차과는 지난달 30일 발표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 등 정부의 미래차 육성 정책의 발빠른 이행에 역점을 두고 업무를 수행한다.

한창섭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산업부의 이번 조직개편은 기존에 추진하던 자율주행차, 전기차 등 미래자동차산업과 관련한 신규업무를 추가하고, 인력을 재배치해 기능을 강화한 것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적인 자동차산업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부서의 주요업무는 미래차 분야로 △기술개발·사업화 △보급 활성화 △산업 인프라 조성△연관산업 융·복합 △글로벌 규제대응 등으로 세분화했다.

또한 보다 신속한 시장 선점을 위한 발빠른 정책 대응이 필요한 만큼, 미래차과 과장은 해당 분야 전문성과 혁신성을 갖춘 민간 경력자로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담당자는 오는 17일까지 채용 공고를 한 뒤 12월중 서류‧면접 심사를 거쳐 2021년 1월 임용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래차산업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의 핵심”이라며 “미래차과 신설로 미래차 산업 육성에 보다 힘이 실리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