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준범 기자
권준범 기자

[에너지신문] 서울에너지공사가 추진 중인 서남집단에너지 건설사업, 즉 마곡열병합발전소 건립이 하염없이 미뤄지고 있다. 공사 측은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근거로 대기오염 문제가 거의 없다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현재 서울 강서지역은 GS파워로부터 지역난방 열원을 공급받고 있다. 따라서 주민 비대위는 굳이 도심 한가운데에 발전소를 지을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내 것’이 아닌 ‘남의 것’을 나눠 쓰는 상황은 항상 불안감이 있을 수밖에 없다. 2035년까지 수열계약이 돼 있으므로 당장은 여유가 있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어떤 돌발변수가 발생할지 예측이 어렵다. 재계약도 무조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물론 인구밀집도가 높고 각종 편의시설이 즐비한 서울 도심지역 한복판에 열병합발전소가 들어선다는 것이 흔한 상황은 아니다. 그만큼 환경설비에 보다 철저한 투자가 전제돼야 한다.

공사는 목표인 2023년 11월 준공을 위해서는 늦어도 내년 4월부터는 공사에 착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맞서 비대위 측은 대기오염으로 주민들이 고통 받는다며 절대 건설 불가를 외치고 있다.

이번 마곡열병합발전 뿐만 아니라 이미 훨씬 이전부터 전국의 발전소 건설 예정지는 항상 잡음이 있어 왔다. 석탄은 대기오염, 원자력은 안전문제, 태양광은 환경파괴라는 각각의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주민들이 있는 반면, 낙후된 지역경제를 살리는 수단으로 인식, 이를 적극 찬성하는 주민들도 있다.

소비자들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열과 전기를 쓰면서 이 전기가 어디서 만들어진 것인지, 그 지역 주민들은 발전소로 인해 어떤 일상의 변화가 있는지 등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그러나 내 집 앞, 우리 동네에 발전소가 들어선다면 상황이 달라진다.

발전소가 어디에 지어지든 무조건 우리 지역만 아니면 된다는 이기적인 생각은 버릴 때가 됐다. 이제는 비대위도 보다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결론을 내려야 할 시점이다. 물론 주민들의 걱정을 없앨 수 있도록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공사의 노력도 당연히 전제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