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보급 가속화 위해 중장기적 인프라 배치 전략 필요
2025년까지 전국 226개 시군구에 1기 이상 구축 목표
2022년까지 고속도로 60기 구축…장거리 운행 불편 제고

[에너지신문] 정부가 2019년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등을 통해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확충을 그린뉴딜 및 수소경제 핵심사업으로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간 성과로 수소차 집중 보급, 2020년 누적 1만 1000대를 보급했고, 2018년대비 12배가 증가한 수치다. 이는 최근 2년간 수소차 보급 세계 1위를 기록할 정도로 가파른 변화다. 

수소충전소도 부처간 협업을 통해 2017년 누적 10기에 불과했지만 2020년 누적 70기 구축을 완료하며 ‘수소생태계’ 조성에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충전소 구축에 있어 지역적 균형 배분은 마련되지 않아 지역간 불균등 분포로 일부 지역 장거리 원정 충전이나 장시간 대기 발생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는 실정. 

이를 해결하고 수소차 보급 가속화를 위해 중장기적인 수소충전소 배치 전략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전체 수소차의 약 1/3이 보급돼 충전 수요가 높지만 인구 밀집에 따른 부지확보 곤란, 민원 등으로 충전소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거점?선도지역, 수소생산 인프라, 기존 시설의 전환 등 관련 정책과 충전소 보급과의 연계성 미흡한 상황. 이에 정부는 전국의 전략적 배치 방안 마련에 고심했고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안)’을 세웠다.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전국 충전망 구축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에 작성한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안에 따르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국 충전망 구축을 비전으로, 전국 226개 시·군·구에 원칙적으로 수소충전소 1기 이상 구축한다는 목표다. 

또한 주요 도시에서 2030년 20분, 2040년 15분 이내 수소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고속도로에서는 2030년 반경 75km, 2040년 반경 50km 내 충전소를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도로유형별 평균일일교통량, 인구밀도, 지역별 자동차등록대수 등 수요?공급 실측자료를 토대로 시나리오별 수요예측모형으로 분석하고, 도로 가중치, 도시화율 등 보정 통해 신뢰성 높은 배치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배분으로 균형 있고 탄력적인 배치하고, 수소차 없는 지역에도 마중물 역할을 위해 공공기관 부지 중심으로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고속도로는 2022년까지 장거리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기본적인 전국 구축망을 완성한다는 각오다. 수소차 넥쏘의 1회 충전 이동거리가 609km이고, 고속도로 휴게소가 200여개 인점을 감안, 2022년까지 60기 구축을 추진 중이다. 

2025년까지 전국 450개 수소충전소 설치한다 
환경부는 지역별로 수소충전소를 배치할 때 기존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충전 편의성이 개선되는 데 초점을 맞춰 배분한다는 원칙이다. 

즉, 수소차 보급 대비 충전소가 현격하게 부족한 주요 도시인 서울, 부산에 대폭 확충하고, 충전소가 부족해 수소차 보급이 미진한 대구, 경북지역에도 충전소를 확충키로 한 것이다. 

또한 제주도는 수소 외부공급 제한으로 수소생산량과 연계해 산정키로 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우선 2022년까지 전국 312기 구축을 목표로, 서울에는 34기를 세우고, 인천 21기, 경기 34기 등 수도권에만 89기를 구축키로 했다. 

서울, 경기 이외에 부산 22기, 경남 21기, 대구 20기, 광주·대전·경북 18기, 울산·강원·전남·전북에는 각각 17기를 배치하고, 세종과 제주에는 각각 2기와 1기를 목표로 삼았다.  

또한 2025년까지는 전국 수소충전기 450개를 설치하기로 하고, 서울에는 48기, 경기 50기 등 전국 226개 시·군·구에 수소충전기를 최소 1기 이상 배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 경기를 제외하면 인천은 31기, 부산 32기, 대구 29기, 광주 25기, 대전 26기, 울산 24기 등이 목표다. 강원은 23, 충북 24, 충남 26, 전북 25, 전남 24, 경북 26, 경남 30, 제주 3기 등이다. 

정부는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장기 예산 편성 및 우선순위 선정, 환경영향평가 등을 적극 반영하고, 광역·기초단체의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인허가, 민원 등 사전에 대비할 방침이다. 
또한 수소차·수소충전소 중장기 계획 실현을 위한 지방비 확보와 지속적인 부지 발굴을 도모한다. 아울러 충전 편의성 예측을 통해 수소차 구매 시기 조정, 충전소 구축·운영 사업 참여 등을 적극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