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발 이후로 모든 일상들이 바뀌었다. 여행이 제안되고 회식과 모임이 금지되었으며 많은 신혼부부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결혼식 또한 인원제한으로 ‘결송’이란 말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오는 11월부터 ‘위드(with) 코로나’ 전환으로 일상을 준비하고 있지만, 아직도 불확실한 세태로 진정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많은 변화를 가져온 코로나는 경제활동의 산물인 기후변화로 인해 촉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에서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이산화탄소 증가로 박쥐종의 친화적인 산림 서식지로 변화함과 동시에 인간의 무분별한 밀림개발로 인해 바이러스의 접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상황은 경제활동에 사용되는 환경자원에 대한 ‘공공재의 부정적 외부효과’의 산물이다. 경제학에서 외부효과(externality)란 경제 주체의 행위에 대해 편익이나 손해가 발생하여 경제적 후생효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어떠한 대가 및 지불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을 말하는데, 그 중 손해를 끼치는 경우를 부정적 외부효과라 한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경제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사적 편익 대비 사회적 편익에 대한 비대칭성으로 인해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우리는 ‘공공재의 비극(Tragedy of commons)’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환경오염의 사회적 비용을 경제활동 내에서 효율적 자원배분이 이루어지도록 UN기후변화협약으로 녹색경제 정책이 활성화되고 있다. 탄소감축 기술투자, 친환경에너지 보급 활성화 등의 경제활동이 급증함과 동시에 글로벌 기업의 ESG 경영실적이 주요한 투자기준으로 꼽히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로 2030년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35% 감축을 목표화함으로써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태양광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배터리에 기반한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지속적인 투자로 에너지기술에 새로운 S-Curve의 기하급수적 성장(Exponential)이 예상된다.

친환경에너지 기술들의 보급이 증가되면 소비자도 직접 에너지를 다루게 됨으로써, 중앙 집중 형 체제가 공유경제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다. 에너지자원의 노드가 다양해지면 새로운 역할이 파생되고 밸류체인에 전반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전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

점진적인 변화에 맞춰 친환경에너지 공유경제 시스템이 발현될 수 있는 시장의 유연성과 자유화를 지원하는 현실적인 실행방안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