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연구단, CCS 심포지엄 개최해 종합평가 결과 발표
“CCS 기술 조기실현 위해 2030년까지 1.4조 투자할 것”

[에너지신문] 올해 4월 CCS 관련 국내 전문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합동연구단이 6개월간 연구한 결과, CCS 저장용량을 약 7억 3000톤 규모로 평가했고, 더불어 추가 탐사·시추 및 기술개발로 최대 11억 6000톤(연 3870만톤)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3일 ‘한국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이하 CCS)을 위한 국내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 가능 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그간 국내 CCS 저장소 위치와 규모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었으나 기관별 평가 기준 및 분석 방법이 달라 저장규모가 상이했다. 이에 정부는 대표성 있는 유망구조, 저장용량 도출을 위해 국내 CCS 저장용량 종합·재평가를 추진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4월 국내 전문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합동 연구단을 구성, 6개월간 자료분석 및 평가 등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합동연구단장인 권이균 교수(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CCS 저장 유망구조 도출을 위한 평가 기준 체계와 저장 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단은 우선 미국 에너지부 기준을 참조, 저장소 규모와 자료 수준, 신뢰도, 평가 목적 등을 고려한 4단계 기술적 평가기준 체계를 마련하고, 이중 저장가능성이 확인된 ‘3단계 유망구조규모 평가’를 국내 저장 가능 규모 평가기준으로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산화탄소 저장가능 규모, 외교적 관계, 경제성·수용성·안전성 등의 사업 추진 조건과 환경을 고려한 한국형 평가 체계를 수립, 추가 적용했다.

연구단은 이러한 기준에 따른 종합평가 결과, 기술성과 사업추진 여건을 고려한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유망 구조는 약 7억 3000톤 규모로 평가했다.

권 단장은 종합평가 결과 도출된 7억 3000톤과 더불어 추가 탐사·시추 및 기술개발로 최대 11억 6000톤(연 3870만톤)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 CCS 중점 추진 계획.
▲ CCS 중점 추진 계획.

유망구조 7억 3000톤은 2015년 추정규모 6억톤보다 1억 3000톤을 상회하는 것으로, 연 24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30년이나 저장할 수 있는 규모다.

또한 2단계 잠재지층 86억톤 중 유망구조 수준의 저장소 2억톤을 추가하면 9억 3000톤 저장이 가능,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상 CCS를 통한 국내 저장규모인 연 3000만톤 이상 가능하다고 연구단은 평가했다.

아울러, 기술개발을 통해 저장 효율을 25% 향상시킨다면 2억 3000톤의 저장규모가 추가될 수 있어 최대 11억 6000톤을 저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강경성 에너지산업실장은 축사를 통해 “CCS 기술 조기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가 협력, 저장소 확보, 기술개발, 국제협력 등에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30년까지 최대 1조 4000억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도 CCS 기술개발 및 저장소 조기 확보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 국내 CO2 저장소 유망구조 분포도.
▲ 국내 CO2 저장소 유망구조 분포도.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