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도가 공동으로 수립, 발표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동안 제주지역은 전력 수요에 비해 과도한 재생에너지 공급으로 출력제어가 수시로 이뤄져 왔다.

출력제어는 재생에너지의 발전시설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이 수요량보다 많을 경우 전력계통의 안정화를 위해 강제로 발전을 중단하는 조치로, 제주도에 풍력발전이 대거 설치된 2019년 이후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다.

출력제한 조치는 대부분 풍력발전에서 이뤄졌으나 지난해 태양광발전사업자에게도 처음으로 출력제어 명령이 내려진 바 있다. 제대로 수요예측을 하지 않고 무조건적인 보급 확대에만 주력한 결과라는 비판이 나오는 상황이다.

이번 기본계획은 대규모 ESS 구축과 그린수소 및 열에너지 활용 등 ‘섹터커플링 기술’을 통해 분산형에너지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이는 출력제어 완화와 함께 도내 전력수요 대부분을 친환경에너지로 충당, ‘카본프리 아일랜드’ 실현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그간 낮은 수익률로 고전하고 있던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활용에 돌파구가 되길 기대해본다. 덧붙이자면 5월에 들어설 새 정부에서 에너지 관련 정책 수정은 불가피하겠으나, 이러한 분산에너지 계획만큼은 더욱 더 다양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