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현대차 전기차 배터리 제조국 분석…48%→86%로 급증
“국제적인 탈중국 움직임에 기민한 정부차원의 대처 필요”

[에너지신문] 최근 5년간 현대자동차 전기차에 중국산 배터리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며 국제적인 제조 시장에 탈중국 움직임이 있는 가운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 산업부는 2022년도 자동차분야 R&D 신규지원 대상 과제 공고를 실시하며, 전기·수소차 엔진 및 후처리 기술 등 핵심 부품기술 개발에 17개 과제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경북 구미시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현대자동차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생산에서 SK온,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를 탑재해왔는데 탑재된 배터리의 국내제조 비율은 2018년 52%에서 2022년 14%까지 줄어든 반면, 같은 기간동안 중국에서 제조돼 국내로 반입된 배터리 비율은 48%에서 86%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조 대수로 환산했을 때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2018년 국내에서는 배터리가 13만 32대 제조돼 납품되다가 2022년에는 15만 9811대가 납품됐다. 같은 기간 동안 중국에서 제조된 배터리는 12만 2326대에서 94만 7178대로 약 7.7배 가량 폭등했다.

이에 대해 구자근 의원은 “국내 설비투자를 하는 것보다 리튬 등 원자재 수급이 용이한 중국에서 제조공장을 설립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었다는 그동안의 제조사 주장과 궤를 같이하는 자료”라고 해석하면서도 “이렇게까지 국산 배터리 제조비율이 낮아진 것은 최근의 탈중국 리스크에 발빠르게 대처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美 바이든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을 통과시켜 전기차 부분에 대해 약 1000만원 상당의 보조금을 세액공제 형태로 지급하기로 했는데, 중국 등 우려국가에서 생산된 배터리 등을 전기차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파격적인 내용을 삽입하면서 공격적인 탈중국 정책을 공식화했다.

이로 인해 현대차 역시 조지아에 공장을 설립하는 등 북미생산에 교두보를 마련하기로 했고, 애플 역시 차이나 리스크에 인도에서 아이폰14를 생산하기로 하는 등 세계적인 기업들마다 ‘탈중국’에 속도를 내는 움직임이다.

구자근 의원은 “국내 투자가 정체되는 동안 국내기업의 중국공장 규모가 너무나 커졌다”며 “세계적인 탈중국 기조에 글로벌 기업들의 공장부지 확보 전쟁이 심각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국내 기업들이 잇단 리스크에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가 공급망 확보에도 대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국내기업들에 유리한 방향으로 통상교섭을 해나가는 등 전방위적인 지원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