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전환과 자립, 올해 양대 역점사업”
최대 원전 집적지…기관 협업해 안전 최우선
SMR 특화산단·수소생산 실증단지 구축 추진

[에너지신문] 3선 국회의원(18,19,20대) 출신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의원 시절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이력을 갖고 있다.

그만큼 에너지 분야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에너지정책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50 탄소중립에 발맞춰 ‘에너지 메카 경북’을 만들겠다는 이철우 도지사에게서 경북도 에너지정책 방향에 대해 듣는 시간을 가졌다.

Q. 지난해 경북도가 중점 추진했던 에너지 사업 성과는?

먼저 그린에너지산업 육성 기반 구축을 들 수 있다. 그린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한 국비지원 사업으로 포항시가 수소도시에 선정됐다.

2023년부터 4년간 총 사업비 416억원을 투입해 수소 활용 연료전지, 교통, 전용배관 등 수소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풍력산업 클러스터 인재양성을 위해 풍력 분야의 석박사급 인재 양성 사업과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지원센터 구축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두 번째는 에너지 복지사업 보급 확산이다. 지난해는 에너지 복지사업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였다. 경북의 전기 유관단체와 힘을 모아 울진 산불과 포항·경주 태풍 피해지역에 전기 보일러 무료 안전점검 및 교체 지원 봉사활동으로 피해지역에 도움이 되기 위해 노력했다.

에너지 취약계층에 에너지 복지사업과 햇살에너지 농사 지원, 고효율 에너지 절약사업을 추진해 도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복지사업 보급 확산에도 최선을 다했다.

Q. 올해는 어떤 에너지 관련 사업에 집중할 예정인가?

2023년 역점 추진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에너지 대전환 인프라 구축이다. 친환경에너지사업 확대, 에너지 국책사업 유치를 통해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고, 에너지 중점산업의 체계적 육성과 집중으로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별로는 먼저 수소복합터미널 구축으로 대규모 수소저장 운송 복합터미널 및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를 연계해 수소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올해 사업이 시작되는 만큼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수소도시 마스터플랜 사업의 첫 단추를 잘 꿰도록 하겠다.

또 초대형 풍력터빈 프로토타입 실증으로 풍력 실증단지 구축을 통해 관련 기업을 지원하고 도내 댐에 수상태양광 시범사업을 조성,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수상 태양광 발전단지도 함께 조성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녹색경제 실현을 위한 에너지 자립기반 조성이다.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산으로 탄소중립 실현, 민‧관이 함께하는 신재생 에너지 시범사업을 지속 발굴하고 혁신에너지 기술 창업분야도 계속해서 지원해 나갈 것이다.

탄소중립 에너지전환 시범마을 조성으로 주민 주도의 자발적 확산을 유도하고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실천사업 등 종합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수소, 태양광, 풍력, 에너지 효율 등 혁신에너지 벤처 기술 창업을 지원해 녹색경제 실현에도 앞장서겠다.

Q. 경북은 대표적인 원전 밀집지역이다. 안전 유지를 위한 도의 역할, 그리고 관계기관과의 협력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현재 도내에 월성원자력본부(경주)·한울원자력본부(울진)에 총 12기의 원전이 운영되고 있으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경주)도 위치해 있다. 전국 최대의 원전 집적지이다 보니 안전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다.

2021년 5월 경상북도 원자력안전조례를 제정해 원전시설을 운영·관리하는 한수원 및 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 원전위기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방사능 방재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동형 방사선 감시 시스템으로 원전 지역의 환경방사선을 월 3회 측정하고 있다.

매년 도, 원안위, 한수원, 시·군 합동으로 원전 방사능방재 훈련을 실시, 비상시 임무수행을 연습하고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있다.

유사시 원자력 안전과 비상 대응을 위해 중앙부처, 한수원 및 시·군, 지역의 군·경 등 11개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비상연락망을 분기별로 정비, 기관별 비상대응체계를 상시 유지하고 있다.

원전사고 시 경북지역의 원전 전체를 총괄 지휘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위해 국비 120억원을 투입해 현장 지휘센터, 구호센터 등이 포함된 경북 원자력 방재타운을 울진군 평해읍 일원에 조성 중이다.

앞으로도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할 수 있게끔 정부와 원전사업자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할 것이다.

Q. ‘차세대 청정에너지 벨트’를 핵심 정책으로 선정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고, 향후 추진 방향은?

동해안 청정에너지 산업벨트 육성은 수소 클러스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연구개발·실증 및 활용을 통해 미래 원자력 시장을 선점하는 한편 수소산업을 육성, 수소경제시대를 선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조성 중인 경주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연계, SMR을 제조하고 수출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SMR특화 국가산단’ 유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울진에는 SMR 활용 수소생산 및 기업유치를 위한 생산실증단지 및 국가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2021년도에 국비 100억원을 확보, 올해 완료 예정으로 수소연료전지 인증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또 수소연료전지 산업 클러스터의 경우 상반기 예타가 통과되면 다양한 장비활용과 R&D지원이 필요한 수소기업들의 지속적인 투자가 기대된다.

수소에너지를 도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포항을 중심으로 수소도시를 조성하고 점차 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울진부터 포항, 경주에 이르기까지 SMR 특화 국가산단, 원자력활용 수소생산 실증단지 및 국가산단 조성과 수소복합터미널 구축 등을 통해 동해안 지역을 청정에너지 산업벨트로 육성하고 미래 에너지 시장을 선점할 것이다.

Q. 경북도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을 설명해달라.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가 됐다. 지금까지의 생활방식과 사회구조를 완전히 개선하는 대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경북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철강업, 전자 등 탄소배출원이 많은 편에 속해 도민을 비롯한 산업계 등 사회 구성원 모두의 동참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도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이행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첫 단계로 경상북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 제정과 더불어 탄소중립 추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구성, 운영 중이다.

오는 3월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 기본계획이 확정되면 2024년 3월까지 경상북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 탄소중립 이행의 전 과정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Q. 에너지 분야와 관련된 경기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계획이 있다면?

경상도는 울진·경주 중심의 원자력, 포항 중심의 수소연료전지, 영덕 중심의 풍력발전 산업 등 동해안 친환경 에너지클러스터 조성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에너지 확대와 기업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경기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에너지 기업의 혁신기술 발굴·사업화를 위한 ‘혁신에너지 벤처기술 창업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역기업의 에너지 분야 혁신기술에 대한 창업지원, 디자인 마케팅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컨설팅, 시제품 제작, 인증 특허 등을 지원하는 것으로 21개 기업을 선정해 기업당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풍력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지역에너지 인재양성 사업도 향후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2025년까지 총 91억원을 투입, 지역대학-기업 간 산학협력을 지원한다.

Q. 풍력발전 사업과 관련, 규제 해소와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한 방안은?

경상북도는 2021년말 기준 전국 2위 규모인 419MW의 풍력발전단지가 이미 설치됐으며 총 3429MW의 사업이 허가를 완료하고 추진 중에 있다.

기존에는 사업자가 개별적으로 입지발굴부터 주민수용성 확보, 복잡한 인허가 절차까지 모두 수행해왔다. 그에 따라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사업자 간의 무분별한 경쟁도 부추기는 실정이다. 사업 선점을 위한 풍황계측기 설치 난립, 사업권 매매, 인허가를 위한 금품 살포 등은 지역주민들 간의 갈등을 야기하는 대표적인 부정적 사례다.

도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발이익의 지역사회 환원을 위해 공공주도 풍력입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지자체 및 에너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풍황측정 및 입지환경을 조사하고, 민관협의체 구성을 통해 사업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Q. 지역주민, 도내 에너지 사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전 세계가 에너지 위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현재 디지털 대전환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전기차 보급 등으로 모든 분야에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산업부문은 국내 에너지 소비의 60%를 차지하는 저효율·고소비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갖고 있다.

올해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예정된 만큼 기업체를 비롯한 도민 모두가 에너지 위기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 생활 속 에너지 절약 실천으로 위기를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동참을 부탁드린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