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친환경선박 개발시행 공고…1454억 예산 확보, 전년비 52%↑
친환경선박 기술개발에 재원 중점 투입…미래 조선산업 경쟁력 확보
무탄소 선박과 전기추진 기자재 국산화 등 73개 과제 중점 지원

[에너지신문] 정부가 올해 수소·암모니아 선박 엔진 개발 등 미래 친환경선박 기술 개발에 722억원을 지원하고, 친환경선박 시험평가에 319억원을 투입하는 등 미래 친환경선박 경쟁력 확보에 1454억원을 중점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친환경선박 기술개발 지원 계획을 담은 ‘2023년도 친환경선박 개발시행계획’을 공고한다.

▲ 한국선급이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연계해 수소선박 기술개발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사진은 수소연료전지 추진선박)
▲ 사진은 수소연료전지 추진선박.

이번 계획은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및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1~2030)’에 따른 것으로 정부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저감 국제규범 강화로 친환경선박 등 미래 조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조선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이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실제 전 세계 친환경선박 발주 비중은 2019년 전체 선박 중 29.9%, 2020년 30.4%, 2021년 32.2% 수준에 불과했지만, 2022년에는 62.0%까지 급증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발맞춰 정부는 올해 친환경선박 관련 예산을 2022년 956억원에서 1454억원으로 52% 크게 증액했으며, 산업부‧해수부‧중기부 등 정부 합동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친환경선박 기술개발(722억원) △시험평가(319억원) △실증지원(350억원) △인력양성(63억원) 등 크게 4개 분야에 걸쳐 총 73개 과제를 추진한다.

이번 예산에서 주목할 부분은 수소‧암모니아 선박 엔진 개발, 전기 선박의 추진기 개발 등 무탄소 선박의 핵심기술과 기자재 국산화와 관련된 예산을 대폭 늘린 것이다. 

우선 미래 친환경선박 세계 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선박 기술에 329억원을 지원하고, LNG 선박·전기추진 선박 핵심기술 국산화와 풍력추진 보조장치 등 온실가스 저감장치 개발에 393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이번 예산을 통해 암모니아 연료 엔진 개발, 선상 CO₂ 포집 장치 개발, LNG 기화가스 예측기술 등의 중점 투자한다.  

또한 기술검증을 위한 시범평가에 적극 지원하다. 이를 위해 인증기준 마련, 저탄소·무탄소선박 시험평가 방법개발 등 시험·검사기준 개발에 110억원, 수소 추진선, LNG 화물창 단열시스템 등에 대한 시험·평가 시설구축에 20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 올해에는 액화수소 신뢰성 평가센터, 친환경선박 수리개조 지원센터, 선박 온실가스 통합관리 등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실제 현장에서의 실증 프로젝트 추진에 대해서는 수소‧암모니아 시범 선박 건조에 195억원, 해상 실증을 통한 기술검증 및 시장진입 지원에 15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미래 선박 기술개발의 핵심인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친환경·스마트선박 분야 석·박사급 양성지원과 퇴직한 전문인력을 활용한 선박 엔지니어링 지원사업에도 63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박동일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미래 선박 시장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친환경 규범 정립 등에 따라서 시장의 흐름이 친환경선박으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언급하고 “정부는 친환경선박 개발시행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며, 미래 선박 시장 선점과 관련 생태계 조성을 위해 우리 조선산업이 경쟁력을 확충하고 기술력을 높이는 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부는 미래 선박 시장의 착실한 준비와 함께 현재 조선산업이 당면한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도 적극적인 노력을 추진 중이다.

이에 지난 6일 조선업 외국인력 도입 관련 애로 해소방안을 발표하고, 비자발급 국내 절차 단축, 도입 비율 확대, 비자 심사 지원인력 파견 등 행정 절차를 개선, 현장에 원활한 인력 도입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또한 30일부터 조선업 밀집 지역 5곳(부산‧울산‧경남‧전남‧전북)에 인력 수급 애로 해소와 현장의견 수렴 등을 위해 ‘현장애로 데스크’도 본격 가동한다.

산업부는 현장에서 나온 건의나 애로를 귀 기울여 듣고 정책에 속도감 있게 반영하며 ‘현장 산업부’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