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사업은 ‘청산’
연료전지발전 이중고로 갈수록 재무구조 악화

▲ 일산화력 연료전지 발전소 전경(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 일산화력 연료전지 발전소 전경(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에너지신문] 연료전지 발전이 분산형 전원으로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작 연료전지발전사들은 연료비 정산단가 상승, REC(재생에너지 인증) 정부고시단가 하락 등 이중고에 시달리며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수소연료전지발전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연평균 약 20~30% 증가했지만 여전히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구축시 주민수용성과 인허가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최근에는 연료전지발전 운영시 글로벌 유가상승에 따라 급격히 오른 연료비에 이어 REC 마저 하락해 이중고를 겪으면서 재무구조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가스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미래엔인천에너지가 2019년부터 공동으로 추진해 왔던 국내 최대 규모인 100㎿(메가와트)급 ‘송도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사업’은 주민 반대와 지난해 정부의 사업인허가 보류 결정에 따라 결국 청산됐다.

특히 지난해말 현재 우리나라의 연료전지발전소는 859MW 규모가 설치 운영중으로, 세계 최대 규모다. 경기그린에너지(58.8MW), 부산그린에너지(30.8MW), 전주 HS홀딩스(24MW), 포항 포스코에너지(24MW), 군산 나투라파워(24MW), 노을 그린에너지(20MW), 고덕 그린에너지(19.6MW)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 연료전지발전사업자들은 최근 연료비 상승과 REC 하락의 이중고에 시달리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 A사의 사례를 보면 국제 LNG가격 상승으로 LNG(도시가스) 연료비 정산단가(원/N㎥)는 2020년 458원에서 2021년 557원, 2022년 1045원으로 급격히 상승했고, REC 정부고시단가는 2020년 6만 6170원에서 2021년 6만 2481원으로 하락하면서 누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

SMP와 연동되는 LNG가격은 연료전지 발전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료비 상승은 비용 증가로 이어져 결국 연료전지발전 사업은 재무 리스크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가 연료비와 REC하락으로 인한 재무구조 악화로 연료전지발전 시장은 위축될 수 밖에 없다”라며 “이로 인해 연료전지산업이 붕괴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수소 사회 구축에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연료전지 발전설비(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 연료전지 발전설비(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전 세계적인 과제로 떠오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장 유력한 친환경 에너지 대안으로 ‘수소’가 주목받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면서도 분산발전이 가능해 유연한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면서 정부가 적극 장려하는 연료전지 발전사업이지만 현실의 장벽은 매우 높다는게 업계의 진단이다.

연료전지발전소는 LNG(도시가스)중에 포함돼 있는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시스템이다.

특히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발전이 가능해 주기기 정비 등을 제외하고는 연중 상시가동으로 약 85~90%의 가동률을 보이기 때문에 태양광, 풍력 등과 달리 간헐성 우려가 없다. 이 때문에 대규모 발전 및 송전설비가 불필요하면서도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 분산전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에너지업계 한 전문가는 “화석연료를 태워서 발전하는 기존의 화력발전소와는 달리 수소연료전지는 연소과정이 없어 SOx(환산화물), NOx(질소산화물),CO2 등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적은 무공해 친환경에너지”라며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며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열도 같이 발생하므로 종합효율 70% 이상의 고효율 친환경 발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설치 면적이 1MW당 약 179㎡로 타 신재생에너지 보다 높은 공간 효율성과 건설기간이 짧고 회전기기가 거의 없어 타 발전원에 비해 소음이 적고. 특히 발전규모 조절이 용이해 설치장소의 제약이 많은 도심지나 아파트 단지, 병원 등 전기가 필요한 곳에 설치해 전기를 생산 공급할 수 있는 분산 발전설비로서, 송전선 이슈 등이 없어 에너지 안보 대안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기환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전력소비가 많은 도심지에서 수요에 안정적 대응이 가능한 솔루션은 연료전지가 유일하다”라며 “가격 인하 노력, 종합효율 증가를 위한 기술개발 노력, 정책측면에서의 분산형 연료전지 전원에 대한 지원정책 도입 필요성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올해 국내 연료전지 시장은 기존 RPS 체제하에서 청정수소발전구매공급제도(CHPS, Clean 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s)로 전환하는 과도기다.

지난 23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연료전지 수출산업화 비전 선포식에서 산업부와 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는 2030년까지 연료전지 수출물량 누적 1GW, 수출액 누적 30억달러 달성 등 연료전지를 미래 에너지 신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청정수소발전구매공급제도 도입으로 연료전지발전업계는 또다른 변화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한 관계자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연료전지발전사업자의 의견을 충분히 청취할 필요가 있고, CHPS 도입시에도 반드시 관련업계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라며 “최근의 연료전지발전사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분산형 전원으로서 충분히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료비 연동제, 연료전지 전용요금제 도입 등 제도개선을 통해 장기적으로 연료전지 산업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현재 추진중인 분산전원법을 시행할 때 국내에서도 데이터센터 등 도심 내 대규모 전력수요가 필요한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원으로 연료전지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라며 “기술, 인력양성, 마케팅 협력을 통한 대·중·소 기업 동반성장 등 연료전지 산업 초격차 유지 및 글로벌 시장 선점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