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수소인프라, 수소공급망 구축에 ‘집중’ 
가속화되는 수소시장 선점 위해 정부 지원 절실 

[에너지신문] 기후위기 가속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 문제로 인해 주요국들의 수소경제 구축을 위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를 위해 주요국들은 청정수소 생산과 더불어 수소 수송인프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EU는 그동안 수소생산에 초점을 맞췄던 것에서 벗어나 수소공급망 구축에도 힘을 쏟고 있다.

EU는 수소를 유럽 전역에 에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수소파이프라인 5개를 구축하고 있으며, 수소차 운행을 위한 수소충전소를 유럽 모든 주요 도시와 핵심 노선을 따라 200km마다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수소공급망에는 저비용으로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천연자원이 풍부한 범유럽 국가·지역에서 생산한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유럽수소파이프라인(EHB·European Hydrogen Backbone)’ 이니셔티브를 통해 유럽 전역에 걸쳐 2030년 2만 8000km, 2040년 5만 3000km의 수소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독일은 지난 7월 새로 발표한 국가수소전략의 새로운 개정안에서 2030년 수전해 설비 목표 5GW에서 10GW로 확대, 2028년까지 수소전용 파이프라인 1800km 이상 확보, 2028년까지 매년 500MW 수전해 설비 국가 입찰 등 주요 목표를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수소시장에서 수소기술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려고 하고 있다.

▲ EU의 수소공급망 구축계획 (출처 : EHB이니셔티브)
▲ EU의 수소공급망 구축계획 (출처 : EHB이니셔티브)

미국도 ‘국가 청정수소 전략 및 로드맵’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청사진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로드맵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청정수소 생산, 공급망 전반의 비용 감축을 통한 생산량 증대와 수소생산 지역 네트워크 강화를 주요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연간 5000만톤 청정수소의 미국내 생산 달성과 2030년까지 청정수소 인프라 및 엔지니어링, 생산, 원자재 공급망 등 가치사슬 전반에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미국 기업들은 미국 전역에서 청정수소 생산에서부터 최종 사용에 이르기까지 청정수소 생태계 전반에서의 각종 프로젝트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일본도 지난 6월 수소기본전략을 6년만에 개정했는데 일본내 수소경제 구축과 더불어 일본의 기술적인 강점을 살려 빨라지고 있는 세계 수소시장을 도모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일본은 대규모의 탄탄한 공급망 구축 및 거점 형성을 위한 지원제도 정비 및 대규모 수소 이용·활용을 위해 필요한 보안규칙 합리화·적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나온 성과를 글로벌 표준과 연계, 세계 시장을 선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는 탄소중립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에너지다. 이에 따라 세계 주요국은 수소를 저가에 생산·공급받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수소도 지역에 따라 수소생산 비용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수소를 저가에 공급받기 위한 수송공급망과 자국내 이를 확산하기 위한 공급망 구축을 서두르면서 수소생산과 수송, 배관 및 충전인프라 시장이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일본의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도구.
▲ 일본의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도구.

우리나라는 일찍이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를 목표로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했으며, 수소법에 근거해 수소경제 이행 추진 체계를 갖추는 등 정부 주도의 적극적인 수소경제 정책을 진행해 왔다. 

여기에 발맞춰 국내 대기업들도 앞다퉈 수소산업 참여를 천명하면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의 수소생산 및 공급을 목표로 하기에는 시장규모가 한정적이므로 일본의 경우처럼 세계 시장을 목표로 추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개발한 기술 및 제품을 실증을 통해 검증하고 시장 출시로 신뢰를 쌓아야 한다. 

이를 위해 시장 초기인 지금단계에서는 미국의 경우처럼 수소생산에 따른 보조금 지급이나 투자세액 공제 등의 정책적 지원과 개발한 제품을 검증할 수 있는 복합 수소 실증단지의 구축 그리고 시장 출시를 위한 각종 규제 개선 등이 필요하다.

수소산업 지원을 위해 다수의 수소생산 사업이 진행됐으나 잦은 사업 지연 및 중단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인허가 문제, 제도변화와 생산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수소 관련사업을 진행에 있어 인허가 관련 부서가 많고 인허가에 걸리는 시간도 많아 일부에서는 기술개발 시간보다 인허가에 걸리는 시간이 더 걸린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수소 시장에 있어 일본에 뒤처지지 않고 우리기업들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복합 실증단지, 수소산업 전담 인허가, 규제 개선 기구등이 필요하다.

다가오는 수소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