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27년 이후 철회' 방침서 '예비타당성조사' 선회
생산물분배계약(PSC) 2047년까지 20년 연장 가능성 높아
일본 미쓰비시와 갈등 봉합 … 가격 재협상은 여전히 숙제

▲ 2027년 이후 인도네시아 세노로 가스전 상류사업에서 철수키로 했던 한국가스공사가 2047년까지 20년간 계약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진은 DSLNG 액화플랜트 전경)
▲ 2027년 이후 인도네시아 세노로 가스전 상류사업에서 철수키로 했던 한국가스공사가 2047년까지 20년간 계약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진은 DSLNG 액화플랜트 전경)

[에너지신문] 오는 2027년 이후 인도네시아 세노로(Senoro) 가스전 상류(개발) 사업에서 철수키로 했던 한국가스공사가 2047년까지 20년간 계약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는 인도네시아 세노로 생산물분배계약(PSC) 연장 관련 투자사업에 대해 정부에 KDI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해 빠르면 11월말까지 경제성 및 리스크평가 등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타당성조사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빠르면 연내 또는 늦어도 내년초에는 이사회를 거쳐 세노로 가스전의 생산물분배계약 연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한국가스공사는 지난해 6월 24일 이사회를 열고 ‘인니 세노로 생산물분배계약(PSC) 연장 관련 투자사업 처리방안’을 의결하면서 2027년 이후 계약연장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바 있다. 당시 2027년 이후 세노로 가스전 사업 철회 방침은 많은 논란을 낳기도 했다. 지속적으로 매년 수백억원의 수익배당이 발생하고 있었는데다 업계에서는 향후에도 경제성있는 사업으로 평가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채희봉 전 가스공사 사장 경영체제에서는 계약연장으로 생산된 가스가 국내로 도입될 계획이 없고, 매장량 변동가능성 및 판매물량 가격 등이 확정되지 않아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경제성 분석과 투자의사결정에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로 사업철회 방침이 정해졌다.

특히 파트너 회사인 미쓰비시와의 갈등이 기폭제가 됐다.

당시 가스공사는 2011년 맺은 ‘주주 협약서’에 따르면 계약 연장 등 의사결정에 주주 90% 이상 동의토록 되어 있지만 파트너 회사인 미쓰비시가 동의없이 사업 연장 계약을 체결해 생산물분배계약(PSC) 연장제안서 제출과정에서 절차적인 흠결이 발생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실제 2021년 12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세노로 가스 사업연장을 승인한 이후 가스공사와 미쓰비시간 실무협의 과정에서 입장차를 보이다 지난해 4월 가스공사와 미쓰비시의 합작사인 ‘TEL’이 계약 연장 및 서명보너스 지급에 서명하고, 이에 5월 가스공사가 미쓰비시에 계약위반 사실을 통보하면서 양사간의 갈등이 증폭됐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최연혜 현 가스공사 사장이 취임하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지난해 이사회에서 의결했던 사업철회 방침을 뒤집고 인도네시아 세노로 생산물분배계약(PSC) 연장 투자사업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간 것이다.

그동안 갈등을 보여왔던 가스공사와 미쓰비시간의 갈등도 봉합되는 모양새다. 그동안 극명한 입장차를 보였던 양사간 관계도 상당히 회복했다는 것이 양사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 DSLNG 프로젝트와 세노로 가스전 투자는.

DSLNG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슬라웨시섬 동부에 위치한 세노로, 마틴독 가스전에서 가스를 개발·액화해 LNG를 수출하는 프로젝트다.

가스전 개발(상류)부터 LNG 액화(하류), LNG 도입·판매까지 전 밸류체인에 가스공사가 참여하고 있는 유일한 사업이다.

이 프로젝트의 투자사업은 상류부문과 하류부문으로 나뉜다.

한국가스공사와 일본 미쓰비시가 공동 설립한 합작사인 ‘TEL(Tomori E&P Limited)'은 상류부문 전체 지분의 20%를 보유하고 있다. 합작사 ’TEL’의 지분구조는 미쓰비시 51%, 가스공사 49%이다. 이밖에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르타미나(Pertamina)가 50%, 민간 자원개발사인 메데코(Medco)가 30%의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세노로 가스전 개발(상류) 사업에서의 가스공사 지분은 상류부문 전체의 9.8% 수준이다.

가스공사가 2011년 미쓰비시와 손잡고 세노로 사업에 뛰어들면서 설정한 1차 사업기간은 2027년까지다. 당초 가스매장량이 1.3TCF 규모에서 2배이상의 추가 매장량이 확인되면서 사업연장이 추진중이다.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긍정적이고, 가스공사가 20년간 사업 연장을 하게 되면 사업기간은 2047년까지다.

사업 연장계약을 체결할 경우 한국가스공사도 지분율에 따라 서명 보너스를 분담할 것으로 보인다. 서명 보너스는 석유·가스 등 자원을 가진 국가에서 광구권을 분양 받은 기업이 현지 정부에 지급하는 일종의 보상금이다.

현재 LNG액화플랜트 운영 등을 위한 하류부문의 협의는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지만 상류부문 사업연장이 확정될 경우 순차적으로 하류부문에 대한 투자연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류부문의 액화플랜트사업은 세노로 가스전에서 추출한 가스를 LNG로 만드는 사업으로, 가스공사와 미쓰비시의 합작사인 SLD의 지분은 59.9%다. SLD 지분율은 미쓰비시가 75%, 가스공사가 25%다.

또 다른 이슈는 가격 재협상 문제다. 2011년부터 추진된 DSLNG사업은 2015년부터 2027년 12월까지 일본 JERA에 연간 100만톤, 일본 큐슈 전력에 연간 30만톤, 한국가스공사에 연간 70만톤을 공급하고 있다.

2015년부터 도입한 천연가스 가격이 현물 시세 하락으로 상대적으로 비싸지자 일본 JERA, 일본 큐슈, 가스공사는 2017년 7월부터 DSLNG와 가격 인하 재협상에 나섰다. 5년마다 가격을 재협상토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협상 결과 일본 JERA는 2020년 3월, 일본 큐슈전력은 2021년 4월에 각각 1MMBTU(100만 BTU)당 14달러로 도입가격을 인하했다. 일본 JERA는 2018년부터 2020년 3월 합의시까지 인하된 가격으로 차액을 환급받았고, 일본 큐슈전력도 인하된 가격과의 차액을 돌려받았다.

그러나 2017년 7월부터 가격 인하 재협상을 시작한 가스공사는 가격 재협상에 실패했다. 결국 2020년 10월 국제중재소송을 제기하고 1년 1개월간 중재청구 소송이 진행됐지만 중재청구는 2021년 11월 ‘가격 재협상 관련 중재 관할권이 없다’는 이유로 기각됐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는 일본보다 비싼 1MMBTU당 15달러에 구매하게 됨에 따라 일본과 대비해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현재 가격 재협상 문제와 관련 DSLNG측은 세노로 생산물분배계약(PSC) 연장 투자사업과는 별개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가스공사의 2022년 영업보고서에 따르면 2018~2022년까지 DSLNG사업에서 249억원, 120억원, 129억원, 232억원, 505억원의 지분법 이익을 거뒀다. 이 프로젝트의 지분투자로 5년간 1235억원 규모의 이익을 본 것이다.

지난해 사업 철회방침에서 사업 연장 투자로 입장을 선회한 한국가스공사가 DSLNG사업에서 향후 어떤 결과물을 도출해 낼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